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문화재

조정만묘(趙正萬墓)

by 형과니 2023. 6. 9.

조정만묘(趙正萬墓)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7(남동구)

명 칭 조정만묘(趙正萬墓)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1

지 정 일 1990.11.09

소 재 지 인천 남동구 도림동 산46-3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임천조씨오제공파종중

관리자(관리단체) 임천조씨오제공파종중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공보실 032-453-210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정이(定而) 조정만(16581739) 선생의 묘소이다.

 

송준길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우고 숙종 7(1681)에 진사시에 장원 급제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였으며, 관직에 나아가서는 여러 관직을 거쳐 정헌대부, 지중추부사에 올랐다. 그는 경((백가서(百家書)에 두루 능통하였으며, 시와 서예에도 뛰어났다. 저서로는오재집이 있다.

 

현재 묘역에는 묘비와 문인석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묘역 근처에 이의현이 짓고 김진상이 쓴 신도비(神道碑:왕이나 고관 등의 평생업적을 기리기 위해 무덤 근처 길가에 세운 비)가 있다.

조정만(16581739)의 자는 정이(定而), 호는 오재(寤齋)이며 본관은 임천(林川)이다. 송준길(宋浚吉) 문하(門下)에서 수학(修學)하여 숙종 7(1681) 진사시(進士試)에 장원급제하여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였다. 관직(官職)에 나아가서는 여러 관직을 거쳐 정헌대부(正憲大夫)의 위계(位階)에 오르고 지중추부사에 올랐다. 현재 묘역에는 묘비·문인석 등이 배치되어 있고 인근에 이의현(李宜顯)이 짓고 김진상(金鎭商)이 쓴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인천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여발묘(李汝發墓)  (2) 2023.06.09
장수동은행나무(長壽洞銀杏나무)  (1) 2023.06.09
김재로묘(金在魯墓)  (0) 2023.06.09
논현포대(論峴砲臺)  (0) 2023.06.09
한백륜 묘역 (한백륜묘역)  (0) 2023.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