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은지(浴恩池)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문화재자료
제1호 (계양구)
명 칭 욕은지(浴恩池)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주거시설
수량/면적 288㎡
지 정 일 1983.03.02
소 재 지 인천 계양구 계산동 943 (부평초등학교내)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리자(관리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문화공보실 032-450-587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인천시 계양구 부평초등학교에 자리한 욕은지는 학교 동쪽에 있는 어사대와 함께 있다. 원래 다른 곳에 있던 것을 조선 고종 24년(1887)에 새로이 고쳐 지으면서 이곳으로 옮겼다.
돌을 쌓아 가로 18m, 세로 16m의 크기로 만든 연못으로, 가운데에 둘레 7m의 돌산을 만들어 풀과 나무를 심고, 다리를 만들어 남쪽과 연결하였다. 연못 동쪽에 쌓여진 돌 가운데에는, 고종 24년에 고쳐 지었다는 기록을 새긴 돌이 끼어 있다.
정조 21년(1797) 왕은 김포의 장릉을 참배하고, 부평을 경유하여 생부를 모신 수원 현륭원에 갔다고 전해진다. 이 때 부평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며 이 곳에서 활을 쏘고 손을 씻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곳 부평국민학교 교정 동편 한 모퉁이에 어사대< 御射臺 >와 욕은지< 浴恩池 >가 같이 위치하고 있는대 원래 욕은지< 浴恩池 >는 다른 곳에 있었던 것을 조선< 朝鮮 > 고종< 高宗 > 24년 (1887)에 중수< 重修 >하면서 이곳 어사대< 御射臺 > 옆으로 이전하였다고 한다. 어사대와 욕은지는 인조< 仁祖 >가 그의 생부인 원종< 元宗 >의 장릉< 章陵 >에 전배< 展拜 >할 때 이곳에서 활을 쏘고 손을 씻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이곳을 지난 왕으로는 정조< 正祖 >가 있는데 정조< 正祖 >는 그의 21년(1797) 8월에 김포 장릉을 전배하고 부평을 경유하여 수원의 현륭원< 顯隆園 >(정조< 正祖 >의 생부< 生父 > 사도세자< 思悼世子 >의 원소< 園所 >)을 전배하였다고 전한다. 이때 정조가 부평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후 안산< 安山 >으로 출발하였는데 이곳에서 활을 쏘고 손을 씻은 것으로 여겨진다. 어사대와 욕은지에는 고종< 高宗 > 24년(광서< 光緖 > 정해< 丁亥 >)에 중수하였다는 글씨가 있는 연석< 緣石 >이 각각 끼워져 있다.
'인천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령도 두무진 (0) | 2023.06.10 |
---|---|
어사대(御射臺) (0) | 2023.06.10 |
이선봉묘역 (2) | 2023.06.10 |
이찰·이율형제정려(이찰·이율형제정려) (1) | 2023.06.10 |
영신군이이묘(永新君李怡墓) (1)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