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간 갈등에 인천 북성포구 ‘친수공간 조성’ 하세월
仁川愛/인천이야기
2021-06-02 09:55:12
지자체 간 갈등에 인천 북성포구 ‘친수공간 조성’ 하세월
중구-동구 어항구 지정 비율 이견 공유수면 매립 준공 "해 넘길라" 어민들 사업 지연에 우려 목소리
이창호 기자 2021.05.25
인천시 중구 북성포구 주변 전경. /사진 = 기호일보 DB
인천 북성포구 어항구 지정과 관련해 해당 지자체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어민들이 원하는 친수공간 조성도 늦어질 전망이다.
24일 인천해양수산청, 어민들에 따르면 최근 인천시는 중·동구가 5대 5 비율로 어항구를 나눠 관리하는 중재안을 제시했으나 중구가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구는 해상경계선을 기준으로 중구 25%, 동구 75% 어항구를 지정해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동구는 현재 무허가 횟집 등이 행정구역상 중구에 있기 때문에 동구 쪽에 75% 어항구 지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매립을 마치고 조속히 해양친수공간으로 재탄생해야 하는 북성포구 사업계획이 늦어진다는 점이다.
북성포구 어민 등은 양 지자체의 다툼이 못마땅하다. 매립 준공 예정이 오는 8월이지만 지자체 간 갈등으로 준공이 늦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조만간 마무리될 예정인 북성포구 준설토투기장 상부시설(해양친수공간) 조성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도 이들 지자체의 갈등이 끝나지 않으면 중단될 것으로 보인다.
북성포구는 약 7만6천㎡ 규모 공유수면을 매립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어민들은 준공이 예정보다 늦어져 내년 1월을 넘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북성포구 한 어민은 "어항구 지정까지 열심히 의견을 피력해 얻어냈고 시민들과 함께 할 수 있는 해양친수공간을 짓기로 정해졌다"며 "중·동구 다툼 때문에 시민들에게 돌려줄 해양친수공간이 늦어지면 어민뿐 아니라 시민 전체가 피해를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인천해수청 관계자는 "북성포구 어항구 지정에 지자체 간 의견 다툼도 배제할 수 없어 합의가 안 될 시 해양친수공간 조성계획에 차질이 우려된다"며 "시민들을 위한 친수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어려운 선택을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창호 기자 ych23@kihoilbo.co.kr
'인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부평 일본육군조병창의 존재에 대한 신문기사 (0) | 2023.07.05 |
---|---|
용치 [龍齒] 에 대하여 (0) | 2023.07.04 |
인천의 문화 수문통 - 배다리 이야기 (0) | 2023.07.04 |
인천의 오래된 중국집 (0) | 2023.07.03 |
1972년의 인천 차이나 타운 (0) | 2023.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