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원조]정미소
仁川愛/인천-원조&최초&최고인것들
2007-01-14 05:26:33
[인천이 원조]정미소
[서울신문]농촌에서 수확한 벼를 쌀로 만들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작업이 바로 도정(쌀을 찧는 일)이다. 이 도정 작업을 하는 곳이 정미소다.19세기 말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정미소가 없어 연자방아나 물레방앗간에서 쌀을 찧었다.
그러던 중 1892년 인천 용동에 정미소가 생겼는데, 사람들은 이를 ‘담손이방앗간’이라고 불렀다. 이는 스팀 동력 즉, 증기를 이용하는 근대식 시설을 갖춘 최초의 정미소였다.‘담손이’라는 말은 ‘타운센드’의 우리식 발음으로, 미국인 월트 타운센드가 세운 ‘타운센드 상회’가 정미소를 만들어 붙여진 이름이다.
타운센드 상회는 1883년 인천항 개항과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온 영국 이화양행, 독일 세창양행과 더불어 인천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서양 무역회사였다.
이 회사가 인천에 진출한 것은 1884년인데, 처음에는 타운센드가 미국인 모스의 무역상사 인천대리점을 운영하는 형태였기에 ‘모스·타운센드’라는 상호를 달고 영업을 했다. 그 후 1995년 타운센드가 모스의 권리를 인수해 회사 명칭을 ‘타운센드 상회’로 바꿔 1930년까지 운영했다.
타운센드는 상술이 매우 뛰어난 사람으로 1885년 인천의 ‘순신창 상회’를 인수한 뒤 서상집을 대리인으로 내세워 미곡 무역에 종사했다.
그는 한국인 객주와 상인들에게 자금을 빌려주고, 무기를 구입해 조선 정부에 납품하기도 했다. 또 왕실에서 쓰는 사치품과 전기 관련 용품을 납품했으며, 모스가 경인철도 부설권을 따내자 자금을 대는 등 큰 부를 축적했다. 조선 개항 초기 최고의 ‘큰손’이자 ‘마당발’이었던 셈이다.
그러던 중 인천항이 미곡 집산지여서 일본으로의 미곡 수출이 늘어나자 1892년 재빠르게 일본인들을 앞질러 정미업에도 손을 댔다.
당시 사용한 정미기는 1889년 미국 뉴욕에서 제작한 신안특허품으로 쌀을 곱게 마찰시켜 표면이 깨끗하고 광택이 나는 것은 물론 돌이 섞이지 않는 최상품의 쌀을 생산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농부들은 담손이방앗간에서 나오는 쌀이 뽀얗다고 해서 ‘수정미’로 불렀다.
이 정미기는 60마력으로 12시간 사용하는데 석탄 1.5t이 필요했고, 하루에 쌀 16가마를 찧을 수 있었다. 정미기가 모두 4대였으므로 64가마를 생산했는데 당시로서는 엄청난 생산량이었다. 물론 그 쌀은 대부분 일본과 연해주 등으로 수출돼 우리나라 사람들은 도정된 쌀을 직접 먹어보기 여려웠다. 어쨌든 담손이방앗간은 그 시절의 명물로 등장해 사람들이 구름처럼 몰려와 쌀 찧는 모습을 구경하곤 했다고 한다.
이 방앗간을 계기로 정미소가 급속히 늘어나 당시 인천항에는 대형 정미소가 19개에 이르렀으며, 하루 생산능력이 7000석으로 1년 동안 300만석을 도정할 수 있었다. 소규모 정미소도 21개에 달해 인천은 정미업의 대명사로 통했다.
한편 우리나라 사람이 운영한 정미소는 1924년 유군성이 인천시 중구 신흥동에 세운 ‘유군성정미소’가 최초로 정미기 5대를 갖추고 남녀 직공 70명이 하루에 현미 250석, 정미 100석을 처리했다고 한다. 비록 시설은 소규모였으나 유씨는 당시 일본인들이 독점하고 있던 정미업계에 홀로 뛰어들 만큼 상업적 수완이 뛰어났던 것으로 알려진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인천원조&최초&최고인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나라 현대 교통의 발상지 (1) | 2023.03.10 |
---|---|
우리 나라 최초의 기상대 (0) | 2023.03.10 |
[인천이 원조] 보육원 (0) | 2023.03.09 |
[인천이 원조] 쫄면·자장면 (0) | 2023.03.09 |
한국최초의 호텔 ‘대불’ (0) | 2023.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