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이야기

인천의 주요 산

by 형과니 2023. 3. 9.

인천의 주요 산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4 19:35:22


인천의 주요 산

 

산이름 위  치 연혁 및 생태계
월미산 중구 북성동
산2-1
- 연혁 : 높이 93.1m, 면적 581천㎡
- 유래 : 반달과 같이 꼬리가 길게 늘어져 월미(月尾)라고 부름
- 식물 : 산벗나무, 졸참나무, 상수리, 아카시아 등 식생
- 조류 : 집비둘기, 참새 등 5종 관찰          
왕산 중구 을왕동
산121 
- 연혁 : 높이 156.5m, 면적 1,781천㎡
- 유래 : 용유도에 위치하며, 고려시대 왕가의 무덤이 있다고
         해서 이름지어짐
- 식물 : 해송, 참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 식생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
백운산 중구 운서리
운남, 운북
- 연혁 : 높이 215.6m, 면적 4,366천㎡
- 유래 : 용유도의 주산으로 항상 해마가 끼어 흰구름에 쌓여
         있어 백운(白雲)이라 명칭
- 식물 : 해송, 상수리, 리기다소나무 등 식생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정상부근 일대 조수보호지구 지정)
오성산 중구 을왕동
신설동,남북동
- 연혁 : 높이 172m, 면적 1,877천㎡
- 유래 : 용유도의 최고봉으로 5개의 봉우리로 되어 있다하여
         오성(五星)산이라 부름
- 식물 : 해송, 상수리, 리기다소나무 등 식생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
문학산 남구 문학동
연수구 선학,
청학동
- 연혁 : 높이 213m, 면적 4,126천㎡
- 유래 : 문학산의 유래는 산기슭에 서원이 있는데 문인이 많이
         배출되었으며, 산의 형상도 학과 같다해서 문학(文鶴)
         산이라 부르게 되었다.
- 식물 : 신갈, 상수리, 아카시아, 리기다소나무, 산벗나무 등
- 조류 : 참새, 집비둘기, 까치,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23종 관찰

 

산이름 위  치 연혁 및 유래
청량산 연수구 동춘,청학동 - 연혁 : 높이 171m, 면적 666천㎡
- 유래 : 삼면이 바다에 둘러쌓여 풍경이 맑고 아름답고 시원스
         럽다하여 청량(淸凉)산이라 하였으며, 산이 푸르고 학
         과 같다해서 청학(靑鶴)산이라고도 했다.
- 식물 :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신갈, 오리, 산벗나무 등
- 조류 : 집비둘기, 참새, 까치 등 20종
         ※ 천연기념물 303호 소쩍새 서식 확인   
학익산 연수구 동춘,
청학,옥련동
- 연혁 : 높이 및 면적(미상)
- 유래 : 학익이란 산의 형상이 마치 학이 날개를 펴고 나르는
         것과 같다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일명 제운봉이라 함은
         이 산 아래 유명한 학자인 제운선생의 서재가 있다
         해서 지어졌다.
- 식생 :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신갈나무, 오리나무 등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
관모산 남동구 장수동 - 연혁 : 높이 160m, 면적(미상)
- 유래 : 관을 쓴 모양을 닮았다해서 관모(冠帽)산이라 하였다.
- 식물 : 상수리, 리기다, 소나무, 잣나무, 오리나무 등
- 조류 : 참새, 집비둘기,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17종 관찰
상아산 남동구 장수동
(인천대공원)
- 연혁 : 높이 151m, 면적(미상)
- 유래 : 산의 형상이 코끼리 어금니와 같이 생겼다해서 상아
         (象牙)산이라 지어졌다.
- 식물 : 리기다, 상수리, 갈참나무, 오리나무
- 조류 : 조사된 바 없음
거마산 남동구 장수동
(인천대공원)
- 연혁 : 높이 205.6m, 면적(미상)
- 유래 : 산의 형상이 큰말과 같다하여 거마(巨馬)산이라 하였다.
- 식물 : 리기다소나무, 상수리, 오리나무 등
- 조류 : 조사된 바 없음

 

산이름 위  치 연혁 및 유래
오봉산 남동구 서창동
(남동공단)
- 높이 : 105.8m, 면적(미상)
- 유래 : 봉우리가 5개라 오봉(五峰)이라 하였고 도림동에서 논
         현동에서 다섯봉우리가 이어져 있다. 일명 태산(胎山)
         이라고도 하였는데 옛날에 왕자의 태를 묻었다하여
         붙여졌다.
- 식물 : 소나무, 상수리, 오리나무, 아카시아, 갈참나무 등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
만수산 남동구 만수동 - 연혁 : 높이 201m, 면적(미상)
- 유래 : 산아래 마을이 장수촌이며, 수명이 만수(萬壽)한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그리고 이산 동쪽에는 큰산이라하여
         대산(大山)이라 불리었다.
- 식물 : 소나무, 상수리, 오리나무, 아카시아 등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
만월산 부평구 공원묘지
남동구 간석동
(약사공원)
- 연혁 : 높이 187.1m, 면적(미상)
- 유래 : 만월산의 별명은 동쪽에서 만월을 바라본다는 뜻이다.
         토질이 붉고 산 형상이 마치 기러기가 나는 형상을
         닮았다하여 일명 주안(朱雁)산이라고도 불렀다.
- 식물 : 소나무, 아카시아, 오리나무, 상수리, 갈참, 굴참나무 등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
철마산 부평구 산곡동
서구 석남동
- 연혁 : 높이 266m, 면적(미상)
- 유래 : 철마산의 원래명칭은 천마(天馬)산이다. 서쪽 기슭에
         유명한 마제석(馬蹄石)이 있는데 천마의 발자욱과 흡사
         하다. 이곳 주민들은 하늘에서 천마가 내려온 표적으로
         발자국이 생겨난 것이라 하여 신성시 한 곳이다.
- 식물 : 아카시아, 소나무, 상수리,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
- 조류 : 붉은머리오목눈이, 까치, 참새 등 19종 관찰

 

산이름 위  치 연혁 및 유래
삼각산 옹진군 대청면
대청리
- 연혁 : 높이 343m, 면적 500천㎡
- 유래 : 고려 충열왕때 몽고인 원순황제의 태자 신황이가 계모
         모함으로 태자의 근친 일백여호를 데리고 이곳 암도에
         도착하여 지금 대청초등학교가 있는 곳에 정착을 하고
         궁궐을 짓고 생할하였다 하여 지금도 그 곳을 대궐터
         라고 칭하며, 삼각산이라는 명칭은 천자나 왕의 도읍
         지가 아니면 삼각산의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한다.
         이 곳은 태자의 도읍지라 하여 대궐터앞 우뚝 솟은
         삼각형 모형의 산을 삼각산이라 칭하였다 한다.
- 식물 : 대청부채(환경부지정 보호야생종), 소사나무, 소나무 등
- 조류 : 새매(천연기념물), 종달도요, 힁둥새, 붉은뺨맷새,
         검은머리쑥새 등 희귀조류 서식 확인
구봉산 옹진군 북도면
신도리
- 연혁 : 높이 178m, 면적 1,500천㎡
- 유래 : 신도리에 위치한 산으로 산봉우리가 아흡개이며, 그 중
         제일 높은 봉우리(해발 178m)를 대표하여 구봉산이라
         부르게 되었다한다.
- 식물 : 산벗나무, 참나무, 아카시아, 소나무, 특히 남사면의
         상수리나무림은 보전 필요(녹지등급 8등급에 해당)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
국수봉 옹진군 덕적면
북리, 서포리
- 연혁 : 높이 314m, 면적 500천㎡
- 유래 : 북리와 서포리를 경계로 하는 해발312m의 고산으로
         덕적도에서 제일 귀중한 산이란 뜻에서 국수봉(國壽)
         봉이라 불리고 있다 한다.
- 식물 : 상수리, 소나무, 소사나무 등
- 동물 : 비조봉과 동일

 

산이름 위  치 연혁 및 유래
계양산 계양구 계산,
계양,목상동
서구 공촌동
- 연혁 : 높이 395m, 면적 5,309천㎡
- 유래 : 인천을 대표하는 진산(鎭山)이라 불려왔다. 고려시대
         개경 이남의 군사요충지이며, 국방요새로 안남도호부가
         설치되었다해서 안남(安南)산이라고도 하며, 계수목과
         희양목이 자생했는데 희양목은 관상수로 유명하다.
- 식물 : 신갈, 상수리, 소나무, 리기다, 아카시아 등
- 동물 : 조류 42종(천연기념물 황조롱이, 새매, 붉은배새매,
        소쩍새 등 서식), 양서․파충류 8종(참개구리, 유혈목이
         등), 포유류 8종(너구리, 다람쥐 등)
원적산 부평구 산곡동
서구 석남동
- 연혁 : 높이 165m, 면적(미상)
- 유래 : 일설에는 경인운하를 굴착하는데 원통이 고개를 파도
         암석이 나와 실패하고 또다시 안아지고개를 파도 실패
         하자 원통하고 원한이 맺힌 산이라 해서 이름지었다
         한다. 원래 한문표기가 원(元)이 아니고 원(怨)이었는데
         후세 사람들이 원적(元積)산이라 표기하였다.
- 식물 : 아카시아, 소나무, 상수리, 굴참나무, 신갈나무 등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
비조봉 옹진군 덕적면
진리, 서포리
- 연혁 : 높이 292m, 면적 1,500천㎡
- 유래 : 덕적도에서 국수봉 다음으로 높은 산으로 바다 멀리서
         바라보아도 산봉우리가 뾰죽하게 드러나 보이며, 그
         형세가 마치 새가 날개를 치며 날아가려는 모습을 하
         고있어 비조봉이라 하였다 한다. 쾌청한 날이면 주변
         섬들이 바라다보여 전망대 역할을 하는 곳이기도 하다.
- 식물 : 소나무, 소사나무, 굴참나무 등
- 조류 : 제비, 까치, 까마귀 등 10종

 

산이름 위  치 연혁 및 유래
국사봉 옹진군 영흥면
내리
- 연혁 : 높이 128m, 면적 1,200천㎡
- 유래 : 영흥도에서 제일높은 해발 128m 되는 산으로 공민왕이
         이성계에 몰락당한 후 왕족이 영흥으로 피난하여 이
         산에 올라와 한양을 바라보면서 나라를 생각하였다
         해서 국사봉(國史)봉이라 부르게 되었다 한다.
- 식생 : 소나무, 상수리, 생강나무, 진달래
- 조류 : 참새, 까치, 쑥새, 딱새 등 19종

 

※ 자료출처

   - 인천광역시 환경보전장기종합계획(‘98. 인천광역시)

   - 인천 도서지역 자연생태계 기초조사(‘96. 인천광역시)

   -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99.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