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권제31>(大方廣佛華嚴經貞元本<卷第三十一>)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보물 제1154호
명 칭 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권제31>(大方廣佛華嚴經貞元本<卷第三十一>)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사찰본
수량/면적 1권1첩
지 정 일 1993.04.27
소 재 지 인천 연수구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이길녀
관리자(관리단체) 가천박물관
일반설명 | 전문설명
대방광불화엄경은 줄여서 ‘화엄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중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화엄종의 근본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 확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이 책은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마치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며, 접었을 때의 크기는 세로 31.6㎝, 가로 12.3㎝이다. 검푸른 빛의 표지에는 금색으로 제목이 써 있고 끝에 ‘정(貞)’자가 있어 당나라 삼장반야(三臟般若)가 한문으로 번역한 정원본임을 알 수 있다.
화엄경 정원본(貞元本) 40권 중 권 제31에 해당하는 이 책은 고려 숙종때에 간행한 해인사고려각판(국보 제206호)에서 찍어낸 것으로, 간행시기는 13세기에서 14세기로 추정된다.
표지는 감지(紺紙)인데 한가운데의 학립사횡(鶴立蛇橫) 표시아래 금니로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권제삼십일(卷第三十日) 정(貞) ”으로 표제(表題)와 삼본(三本) 화엄경 가운데 정원본(貞元本)임을 표시하고 있다.
상하단변(上下單邊)이고 상하간(上下間) 23㎝, 장(張)크기 31.6 ×49.3㎝에 24항(行) 17자(字)씩 배열되었고 6항(行)씩 절첩(折帖)되어 있다. 판수제(版首題)가 “정원(貞元) 삼십일(三十一) 구(九) ”등으로 경명(經名), 권차(卷次), 장차(張次) 표시가 되어 있다.
이 책은 당나라 삼장반야(三藏般若)가 한역(漢譯)한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정원본(貞元本)(40권본(卷本)) 가운데 하나이다. 이 판본(版本)은 고려 숙종년간에 간행한 판본의 복각본으로 보이는 국보 206호 해인사 고려각판에서 찍어낸 판본으로 간행시기는 13∼14세기로 추정된다.
'인천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0) | 2023.06.10 |
---|---|
경률이상<권제1>(經律異相<卷第一>) (0) | 2023.06.10 |
초조본유가사지론<권제53>(初雕本瑜伽師地論<卷第五十三>) (0) | 2023.06.10 |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 (1) | 2023.06.10 |
옹진 백령도 남포리 습곡구조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