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도원동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3-04 15:31:28
[뿌리를 찾아서] 중구 도원동
인천시 중구 도원동은 구한말 다소면 장천리와 독각리의 일부였다.
장천리는 우리말로 장사래마을인데 옛날 이 일대에 흐르던 개천이 길고(장)
구불구불한 뱀(사) 모양이라 해서 붙은 이름이다.
독각다리라는 이름으로 지금도 남아있는 독각리는
[긴 널조각 하나로 걸치어 놓은 다리]라는 뜻의 우리말 [쪽다리]에서 유래됐다는 설과
독으로 다리 기둥을 세워 생긴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장천리와 독각리는 지금의 숭의동 일대로 모두 이곳에 다리를 놓아야 건널만한
개천이 있었다는 것을 뜻하는데, 개천은 복개돼 흔적을 찾을 수 없다.
1906년 이 두곳에서 일부씩을 떼내 도산리가 새로 만들어졌고 이것이 광복뒤에 도원동이 됐다.
도산이나 도원은 모두 이곳이 복숭아밭이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도원동은 구한말과 일제시대를 거쳐 광복뒤까지도 시 변두리 지역이었기 때문에
전염병 환자를 격리시켜 차료하던 병원 [덕생원]과 화장터가 있었다.
도원동에 있는 야구장은 1920년대부터 최근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야구의 고장 인천]과 깊은 관계가 있다.
일제는 지금의 제물포고 자리인 [웃터골] 분지에 공설운동장을 세우는데,
이 운동장이 생기자 인천에서 서울 배재학당, 중앙고보 등으로 통학하던
[경인기차통학생 친목회]가 야구팀 [한용단]을 만들었다.
한용단에는 유명선수들이 많아 거의 항상 일본팀을 누르며 억눌린 민족의식을 살리는데 큰 역할을 했는데,
이때문에 당시 야구에 대한 시민들의 열기는 지금의 프로야구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고 한다.
한용단에서 비롯된 인천야구는 1934년 웃터골 공설운동장이 도원동으로 옮겨온 뒤로도 계속 맥을 이었고
인천고와 동산고 야구팀이 한동안 전국체전이나 청룡기대회 등을 번갈아 휩쓸며 그 저력을 과시하곤 했다.
[ 최재용기자 ] 조선일보
'인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양탕국…1885년 대불호텔서 첫선 (0) | 2023.03.25 |
---|---|
인천 응봉산(오포산 (0) | 2023.03.25 |
경인고속도로 직선화 구체적 가닥 (0) | 2023.03.25 |
강화도의 힘, 더리미 장어 (0) | 2023.03.25 |
10년 전의 인천, 지금은 어떻게 변했을까? (0) | 2023.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