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문화재89

인천일본제일은행지점(仁川日本第一銀行支店) 인천일본제일은행지점(仁川日本第一銀行支店)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7호 (중구) 명 칭 인천일본제일은행지점(仁川日本第一銀行支店) 분 류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근대산업생산/ 금융업 수량/면적 211㎡ 1동 지 정 일 1982.03.02 소 재 지 인천 중구 중앙동1가 9 시 대 대한제국시대 소 유 자 인천지방법원 관 리 자 인천지방법원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중구 문화공보실 이것은 64평의 석조(石造) 단층(單層) 건물(建物)로서 고종 광무 3년(1899년)에 세워졌다. 설계는 일인 (日人) 니이노이에(新家) 다카마사(孝正)에 의해 되었으며, 사용 재료 역시 모래, 자갈, 석회를 제외한 벽돌, 석재, 시멘트, 목재 등 일체를 일본(日本)에서 반입하였다. 외형은 반원아치의 현관을 .. 2023. 6. 6.
청·일조계지경계계단 청·일조계지경계계단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51호 (중구) 명 칭 청·일조계지경계계단(淸·日租界地境界階段)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근대사건/ 근대사건 수량/면적 840㎡ 지 정 일 2002.12.23 소 재 지 인천 중구 전동 24외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건설교통부 관 리 자 건설교통부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중구 문화공보실 이 지역은 1883년 일본 조계(租界)를 시작으로 1884년 청국 조계(租界)가 설정되는 경계지역으로 만국공원(현 자유공원)으로 연결되어 계단과 조경이 마련된 공간이다. 약 120년의 역사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본 조계지 경계계단은 중앙에 석조 계단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을 중심으로 급한 경사인 점을 감안하여 계단참을 두고, 조경식재 공간을 마련.. 2023. 6. 6.
양주성금속비(良柱星金屬碑) 양주성금속비(良柱星金屬碑)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13호 (중구) 명 칭 양주성금속비(良柱星金屬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93.07.06 소 재 지 인천 중구 운남동 444-3 (동민회관 앞 비석군)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중구청 관 리 자 중구청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중구 문화공보실 영종첨절제사를 지낸 양주성 선생의 공덕을 기리고 있는 비이다. 조선 고종 12년(1875) 8월 강화도에 침입하여 초지진을 공격하고 돌아가던 일본 군함 운양호가 도중에 영종진을 공격하며 뭍에 올라와 진을 점령하고 관아에 불을 질렀다. 이에 조정에서는 인천부를 방어영으로 승격시키는 동시에 강화유수부에 속해 있던 영종진을 인천방어영에 속하게 하였으며.. 2023. 6. 6.
삼목도 선사유적지 삼목도 선사유적지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55호 (중구) 명 칭 삼목도선사주거지(삼목도선사주거지)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지/ 주거지 수량/면적 10,561.62㎡ 지 정 일 2006.09.11 소 재 지 인천 중구 운서동 1830-1번지외 9필지 시 대 선사시대 소 유 자 인천국제공항공사 관 리 자 인천국제공항공사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중구 문화공보실 삼목도 선사유적지는 중서부 내륙의 암사동유적을 제외한 서해 도서지역에서 확인된 최대 규모(17기)의 신석기 주거지로서, 기존의 패총 중심의 조사와 연구에서 벗어나 도서지역에서의 취락을 통한 생업 및 주거양식에 대한 연구를 진전시킬 수 있었다. 즉, 서해안 일대의 유적들이 내륙 주민들의 자원 획득을 위한 방문 및 단기 점.. 2023. 6. 6.
용궁사 느티나무 용궁사 느티나무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 할아버지나무 * 할머니나무 종 목 시도기념물 제9호 (중구) 명 칭 용궁사느티나무(龍宮寺느티나무)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면적 2주 지 정 일 1990.11.09 소 재 지 인천 중구 운남동 667외 3필지 시 대 소 유 자 재단법인한국불교태교원외 1인 관 리 자 용궁사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중구 문화공보실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자라서 둥근 형태로 보이며,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원반모양으로 10월에 익는다. 줄기가 굵고 수명이 길어서 쉼터역할을 하는 정자나무로 이용되거나 마을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당산나무로 보호를 받아왔다. 용궁사의 .. 2023. 6. 6.
용궁사 용궁사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15호 (중구) 명 칭 용궁사(龍宮寺) 분 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불교/ 사찰 수량/면적 3동 지 정 일 1990.11.09 소 재 지 인천 중구 운남동 667, 668, 산101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재단법인 한국불표태교원외 1인 관 리 자 용궁사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중구 문화공보실 032-760-7134 영종도 백운산 동북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는 용궁사는 신라 문무왕 10년(670)에 원효대사가 세웠다고 전한다. 조선 철종 5년(1854) 흥선대원군에 의해 다시 세워지며 지금의 명칭인 용궁사로 바뀌게 되었다. 용궁사에는 관음전·용황각·칠성각·요사채 등의 건물과 최근에 만든 높이 11m에 달하는 미륵불이 있다. 용궁사 관음전은 지붕 .. 2023.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