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산요록(胎産要錄)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보물 제1179호
명 칭 태산요록(胎産要錄)
분 류 기록유산 / 전적류/ 목판본/ 관판본
수량/면적 2권1책
지 정 일 1993.11.05
소 재 지 인천 연수구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이길녀
관리자(관리단체) 가천박물관
일반설명 | 전문설명
이 책은 조선 세종 때의 의학자인 노중례가 세종 16년(1434)에 왕의 명을 따라 편찬한 것으로 임신과 육아의 질병치료에 관한 전문 의학서이다.
상·하 2권으로, 상권은 임산교양을 서술하고 태산문(胎産文)이라는 제목하에 태교론, 전녀위남법(여아를 남아로 바꾸는 법), 식기론(꺼려야 할 음식) 등 20항목이 수록되었고, 하권은 젖먹이의 보호법을 서술하고 있는데 ‘영아장호문(영兒將護門)’이라는 제목하에 거아법, 식구법, 장포의법 등 27개의 항목이 수록되어 있다. 15종이나 되는 의학서적을 참고하여 실용에 편리하도록 편찬하였다. 희귀본으로 의학과 관련하여 귀중한 자료이다.
이 책은 조선 세종(世宗)때에 판전의감사(判典醫監事) 노중례(盧重禮)가 왕명(王命)에 의해 편찬한 것으로 태산(胎産)과 영아(영兒)의 질병치료에 관한 전문의서(專門醫書)이다.
상하(上下) 2권(卷)으로 나누었는데, 상권(上卷)은 태산교양(胎産敎養)을 논하고 하권(下卷)은 영아의 보호법(保護法)을 서술하고 있다. 상권(上卷)은 태산문(胎産文)이란 제하(題下)에 태교론(胎敎論), 전녀위남법(轉女爲男法), 식기론(食忌論) 등 20항목이 수록되었고 하권(下卷)은 영아장호문(영兒將護門)이란 제하(題下)에 거아법(擧兒法), 식구법(拭口法), 장포의법(藏胞依法), 등 27항목이 수록되었다. 성혜방(聖惠方), 천금방(千金方) 등 15종의 의서(醫書)를 참고하여 실용에 편리하도록 엮어졌다.
제목록(諸目錄)에 보이지 않는 희귀본(稀貴本)으로 귀중한 의학관계 자료이다
'인천의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권제67,77> (3) | 2023.06.10 |
---|---|
신응경(神應經) (0) | 2023.06.10 |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 (0) | 2023.06.10 |
경률이상<권제1>(經律異相<卷第一>) (0) | 2023.06.10 |
대방광불화엄경정원본<권제31>(大方廣佛華嚴經貞元本<卷第三十一>) (0) | 202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