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인물

우현 고 유섭 연보

by 형과니 2023. 7. 9.

우현 고 유섭 연보

仁川愛/인천의 인물

2022-04-16 09:48:03

 

 

우현 고 유섭 연보

 

1905(1)

 

22(1228). 경기도 인천 용리(현 용동 11번지 동인천 길병원 터)에서 부친 고주연(高珠演, 1882-1940), 모친 평강 채씨(蔡氏) 사이에 11녀중 장남으로 태어남. 본관은 제주.

 

1910년대초

 

보통학교 입학 전에 취헌(취헌) 김병훈(김병훈)이 운영하던 의성사숙(의성사숙)에서 한학의 기초를 닦았다. 취헌은 박학다재하고 강직청렴한 성품에 한문경전은 물론 시, (), (), 아악(雅樂) 등에 두루 능통한 사람으로, 우현의 박식한 한문 교양, 단아한 문체와 서체, 전공 선택 등에 적잖은 영향을 주었다.

 

1912(8)

 

109. 누이동생 정자 출생. 이때부터 부친은 집을 나가 우현의 서모인 김아지와 살기 시작함.

 

1914(10)

 

46. 인천공립보통학교 입학, 현 창영초등학교). 아버지의 외도, 어머니의 강제 퇴출로 할아버지, 할머니, 삼촌의 관심과 배려 속에 어린 시절을 보냈지만 과묵한 성격 형성. 경제적으로는 넉넉한 편. 공부 잘 하고 민첩하고 명석한 모범생. 붓과 펜으로 인천을 남기다 35

 

1918(14)

 

328. 인천공립보통학교 졸업. 입학할 때는 우수했으나, 졸업할 때는 중간을 밑도는 성적. 병치레로 편도선염, 임파선종등을 앓음.

 

1919(15)

 

36일부터 41일까지 계속된 인천의 삼일만세운동 때 동네 아이들에게 태극기를 그려 주고, 만세를 부르며 용동 일대를 돌다 붙잡혀 유치장에서 구류를 살다가 큰아버지 도움으로 사흘만에 풀려남.

 

1920(16)

 

- 서울에 있는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 이강국과 수석을 다투며 교분을 쌓음.

 

- 경인기차통학생친목회 문예부에서 여러 친구들(곽상훈, 정노풍, 이상태, 진종혁, 임영균,

 

조진만, 고일)과 함께 초보적인 등사판 간행물 발간.

 

- 이 시절부터 조선미술사를 공부할 소망을 품었다고 훗날 회고함.

 

1922(18)

 

인천 용동에 큰 집 지어 이사.(현 중구 경동 애관극장 뒤 능인포교당 자리) 아버지, 서모, 여동생과 함께 살기 시작했으나, 항상 의기소침한 상태.학생지에 동구릉원족기(東九陵遠足記)발표.

 

1925(21)

 

- 3. 보성고등보통학교 우등으로 졸업.(16회 졸업생 59명중 우등생은 이강국과 우현 2명뿐)

 

- 4.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 B부에 입학(2회 입학생) 입학동기중 유명인(이희승, 이효석, 박문규, 최용달)

 

- 문우회: 경성제대 학생 동아리로 조선문예의 연구와 장려를 목적으로 결성. 유진오, 최재서, 이강국, 이효석, 조용만 등

 

과 함께 함. 시와 수필 창작을 중심으로 하되, 소설, 희곡 등 습작을 모아 1년에 1회 동인지 문우100부 한정판으로 발

 

.(5호로 중단)

 

- 문우에 실은 글:

 

수필: 성당, 고난, 심후(心候), 석조(석조), 무제, 남창일속(南窓一束): 해변에 살기시조: 경인팔경(

 

仁八景)

 

1926(22)

 

- 문우에 시 춘수(春愁)와 잡문수필 발표.

 

1927(23)

 

- 낙산문학회(駱山文學會) 활동: 유진오(1년 선배)를 비롯한 학내 문학동호인 조직. 1년만에 해산.

 

- 41: 법문학부 철학과 진입(미학 및 미술사학 전공)하여 미술사 공부 시작.

 

- 법문학부 3년간 수강과목: 교육학, 심리학, 철학, 미학, 미술사, 영어, 문학 분야 강좌

 

- 주요 선생과 수강 과목

 

우에노 나오테루 교수: 미학개론, 서양미술사, 강독연습 등을 통해 그 시기 유럽에서 성행하던 미학을 바탕으로 한 예술학의 방법론을 배움.

 

다나카 도요조(田中豊藏) 교수: 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강독 연습, 중국미술사, 일본미술사, 동양미술사 이해에 많은 영향을 끼침.

 

후지다 료사쿠(藤田亮策) 교수: 고고학문우화강소요부(花江逍遙賦)발표.

 

1928(24)

 

- 아버지 사업(미두)이 망해 인천 집을 금강산 유점사 포교원에 팔고, 강원도 평강군 남면 정연리로 땅을 사서 이사함.

 

때부터 홀로 인천에서 하숙 생활을 함.

 

- 4. 나카기리 이사오(中吉功, 훗날 미학연구실 조교로 함께 일함)와 엔조지 이사오(圓城寺勳, 경성제대 사진실 근무).

 

- 다나카 도요조 교수의 강의를 듣고 관심이 미학에서 미술사로 옮아가기 시작함.

 

1929(25)

 

- 1028일 결혼: 부인 21세 이점옥(인천 3대 갑부 이흥선의 장녀,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졸업) 인천 내동에 신방 차림

 

- 졸업후 동경제대 진학할 뜻을 세웠으나 가정형편으로 포기. 우에노 교수가 졸업후 조교로 임명할 예정이라는 언질

 

을 함.

 

1930(26)

 

- 331: 졸업. 학사학위논문, “예술적 활동의 본질과 의의 (日文)” -콘라드 피들러에 대한 연구.

 

- 3: 불교미학개론 강의 요청받고 승낙.

 

- 47: 경성제국대학 미학연구실 조교로 첫 출근.

 

전국 탑파 조사에 착수.

 

규장각 도서 시문집에서 조선회화 관련 기록 발췌하여 필사. 개성부립박물관장 취임 이후까지 지속함.

 

- 92: 아들 태어났으나 두 달만에 죽음

 

- 글 발표: 미학의 사적(史的) 개관」『신흥3, 7)

 

1931(27)

 

- 11: 서울 숭인동 78번지에 셋방을 얻어 처음으로 독립된 부부살림 시작.

 

- 미술사 분야 첫 글: 금동미륵반가상의 고찰」 『신흥4.

 

1932(28)

 

- 520: 숭인동 67-3번지 가옥 매입하여 이사.

 

- 525: 금강산 여행. 유점사(楡岾寺) 53(五十三佛) 촬영.

 

- 1219: 장녀 병숙 태어남.

 

 

 

: ① 「조선 탑파(塔婆) 개설(1, 신흥6)

 

② 「조선 고미술에 관하여(513-15, 조선일보)

 

③ 「고구려의 미술(5, 동방평론2·3)

 

1933(29)

 

- 331: 경성제대 미학연구실 조교 사임

 

- 41: 개성부립박물관 관장 취임

 

- 419: 개성부립박물관 사택으로 이사

 

- 차녀 병현 탄생후 얼마 안 가서 죽음

 

- 제자를 얻음: 황수영(동경제대 학생), 진홍섭(메이지대 학생)

 

1934(30)

 

- 3: 조선의 탑파사진전(경성제대 중강의실)

 

- 5월 진단학회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

 

(고유섭, 이병도, 이윤재, 이은상, 이희승, 문일평, 손진태, 송석하, 조윤제, 최현배)

 

: ① 「우리 미술과 공예(1011-20, 동아일보)

 

② 「조선 고적에 빛나는 미술(10-11, 신동아)

 

1935(31)

 

: ① 「개성고적안내」 『고려시보(高麗時報)라는 글을 1940년까지 격주간으로 발표.(1946년에 유저송도의 고적

 

로 출간)

 

② 「고려의 불사(佛寺) 건축(5, 신흥8)

 

③ 「신라의 공예미술(11, 조광창간호)

 

④ 「조선의 전탑(전탑)에 대하여(12, 학해2)

 

⑤ 「고려 화적(畵蹟)에 대하여(진단학보3)

 

1936(32)

 

- 1225. 차녀 병복 태어남.

 

- 가을: 이화여자전문학교에서 미술사 강의 시작(문과 과장 이희승씨 권유)

 

: ① 「조선 탑파의 연구 1」『진단학보6. 10(1939.4), 14(1941.6) 3회 연재.

 

② 「우리의 미술과 공예(부분인 고려의 도자공예’, ‘신라의 금철공예’, ‘백제의 미술’, ‘고려의 부도미술4)

 

선총독부 중등교육 조선어 및 한문독본에 수록.

 

③ 「고려도자(12-3, 동아일보)

 

④ 「고구려 쌍영총(15-6, 동아일보)

 

⑤ 「신라와 고려의 예술문화 비교 시론(9, 사해공론)

 

1937(33)

 

: ① 「고대 미술연구에서 우리는 무엇을 얻을 것인가(1, 조선일보)

 

② 「불교가 고려 예술의욕에 끼친 영향의 한 고찰(11,진단학보8)

 

1938(34)

 

: ① 「소위 개국사(開國寺) 탑에 대하여(9, 청한)

 

② 「고구려 고도 국내성 유관기(遊觀記)(9, 조광)

 

1939(35)

 

: ① 「청자와(靑瓷瓦)와 양이정(養怡亭)(2, 문장)

 

② 「선죽교변(善竹橋辯)(8, 조광)

 

③ 「삼국미술의 특징(831, 조선일보)

 

④ 「나의 잊지 못하는 바다(8, 고려시보)

 

1940(36)

 

- 부친 별세(만주 길림)

 

 

 

: ① 「조선문화의 창조성(14-7, 동아일보)

 

② 「조선 미술문화의 몇 낱 성격(726-27, 조선일보)

 

③ 「신라의 미술(2-3, 태양)

 

④ 「인재 강희안(仁齋 姜希顔) 소고(10-11, 문장)

 

⑤ 「인왕제색도(9, 문장)

 

⑥ 「조선 고대의 미술공예(モタン日本조선판)

 

1941(37)

 

- 고추장사에 자본을 댔으나 실패하여 석달 동안 속앓이.

 

- 강연: 불교미술에 대하여(혜화전문학교)

 

- 자신의 죽음을 예견하고, 필생의 목표였던 한국미술사 집필, 공민왕을 소재로 한 문학작품 집필을 남기지 못함을 아쉬

 

워 함.

 

 

: ① 『개성부립박물관 안내(7)

 

② 「조선미술과 불교(1, 조광)

 

③ 「조선 고대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 문제(7, 춘추)

 

④ 「고려청자와(11, 춘추)

 

⑤ 「약사신앙과 신라미술(12, 춘추)

 

⑥ 「유어례(遊於藝)(4, 문장)

 

1943(39)

 

: ① 「조선탑파의 양식 변천(일본 문부성 주최 일본제학진흥위원회예술학회 발표, 동경)

 

② 「불국사의 사리탑(청한)

 

 

1944(40) 626. 간경화로 죽음. 묘지는 개성부 청교면 수철동.

 

---------------------------------------------------

 

 

1946

 

제자 황수영, 송도의 고적(박문출판사) 출간.

 

1948

 

조선탑파의 연구(을유문화사) 출간.

 

1949

 

조선미술문화사논총(서울신문사) 출간.

 

1954

 

제자 진홍섭 역, 고려청자(조선의 청자번역, 을유문화사) 출간.

 

1955

 

조선탑파의 양식변천 각론」『동방학지2(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58

 

전별(餞別)의 병(통문관) 출간.(미술문화 관련 글, 수필, 기행문, 문예작품 등을 엮음)

 

1963

 

조선미술사급미학논고(통문관) 출간(앞서 발간된 유저에 실리지 않은 조선미술사, 미학 관련 글)

 

1964

 

미발표 유고 조선건축미술사초고한국미술사초고(필사 등사본)라는 제목으로 출간(고고미술동인회)

 

1965

 

조선화론집성·(필사 등사본)

 

1966

 

조선미술사료(고고미술동인회, 필사 등사본)

 

1967

 

조선탑파의 양식변천 각론 속」『불교학보3·4 합집.1974(30주기)

 

우현 기념비 건립(경북 월성군 감포읍 문무대왕 해중능침 앞)

 

삼십주기 추모비 건립(인천시립박물관 앞)

 

1980

 

우현미술상 제정(발의: 이희승, 황수영, 진홍섭, 최순우, 윤장섭,이점옥, 고병복)

 

1992

 

‘9월의 문화인물로 지정. 동상 건립(인천시립박물관 뒤뜰): 인천새얼문화재단의 1회 새얼문화대상 수상자선정.

 

1998

 

자랑스런 박물관인상 수상자로 선정(1전국박물관인 대회’)

 

1999

 

715일 우현로 명명(동인천역 앞 대로, 우현 생가터 앞을 지남)

 

2001

 

1회 우현학술제 우현 고유섭 미학의 재조명

 

2002

 

2회 우현학술제 한국예술의 미의식과 우현학(又玄學)의 방향

 

2003

 

3회 우현학술제 초기 한국학의 발전과 조선의 발견

 

2004(60주기)

 

4회 우현학술제 실증과 과학으로서의 경성제대학파

 

2005

 

5회 우현학술제 과학과 역사로서의 의 발견

 

812. 동아시아 근대 미학의 기원: ··(우현 고유섭 탄생 100주년 기념, 인천문화재단)

 

2006

 

아무도 가지 않은 길(2005년 심포지엄과 전시자료 묶음)

 

2007

 

11. 열화당에서 우현 고유섭 전집10) 1차분 출간 제1·2조선미술사·, 7송도의 고적

 

2010

 

1. 열화당에서 우현 고유섭 전집10) 2차분 출간 제3·4조선탑파의 연구, 5고려청자, 6조선건축미술사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