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02

1924년 여름, 월미도 기억 1924년 여름, 월미도 기억 仁川愛/근대 월미도 이야기 월미산정상에서 바라 본 월미조탕과 해수욕장 풍경 [인천개항장이야기 (8)] '개벽'의 1924년 여름, 월미도 기억 지금은 육지가 된 월미도가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1653년 '월미도에 행궁(行宮)을 설치했다'는 기록이다. 그 후 월미도는 병인양요(1866) 당시 프랑스함대 해도(海圖)에 'Rose Island'로 기록되었고, 청일전쟁 후 일본이 병참기지로 이용하기도 했다. 월미도는 일제강점 후인 1918년 변화를 맞게 된다. 인천부는 월미도를 풍치지구로 지정해, 월미산에 순환도로를 축조한 후 벚나무와 소나무로 조경을 했고, 조탕·호텔·동물원·하계야영캠프촌 등을 만들어 유원지를 조성했다. 1922년에는 석축 제방도로로 육지와 연결해 경인지역의.. 2023. 7. 3.
인천아트 플랫폼 인천아트 플랫폼 인천의관광/인천풍경 2020-05-09 01:38:35 https://youtu.be/DT4htLAihq4 인천항과 큰 길을 사이에 둔 항동, 신흥동, 해안동 등 구도심에는 항구가 가까 운 입지조건으로 오래전부터 거대한 규모의 물류창고가 즐비했습니다. 그 중 개항기 근대건축물이 잘 보존돼 있던 해안동 일대가 지난 2009년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탈바꿈했죠. 13개 동의 예술창작 공간으로 구성된 아트플랫폼은 일제강점기 근대 창고업이 시작된 곳. 인천항을 통해 미곡을 반출하기 위해 일제는 이 일대에 대규모 창고들을 건립했고 일본해운회사도 앞다퉈 진출했습니다. 당시 진출한 일본해운회사 중 일본우선회사 인천지점 건물은 아트플랫폼에 그대로 보존돼 있습니다. 지상1층, 최고높이 7.7m의 근대 절충주.. 2023. 7. 3.
이방인의 눈에 비친 제물포 1 이방인의 눈에 비친 제물포 1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20-05-06 14:22:33 이방인의 눈에 비친 제물포 Ⅰ -개항 전후부터 청일전쟁 시기까지- *이 희 환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구원 1. 세 개의 시선 2. 개항 이전, 제물포 앞바다의 이양선들 3. 개항 직후, 제물포로 들어온 외교관들 4. 청일전쟁 전후, 제물포를 탐사한 여행가들 5. 청일전쟁 이후 이 논문은 개항을 전후로 한 시기부터 청일전쟁에 이르기까지 제물포 일대를 찾았던 외국인들의 행적과 그들의 기록을 연대순으로 살펴보았다. 대항해시대 이후 조선을 찾았던 이국의 방문자들은 공적 혹은 사적인 목적을 가지고 조선을 탐사하면서 그들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조선과의 접촉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외국인들은 제물포를 비롯한 인천 .. 2023. 7. 3.
한국 근현대가 살아 숨쉬는 인천중구 이곳저곳 한국 근현대가 살아 숨쉬는 인천중구 이곳저곳 인천의관광/인천풍경 2020-05-05 17:48:14 https://youtu.be/4I80-MfJDaA 하인천일대 2023. 7. 3.
仁川市 近代 建築物의 外觀 意匠에 관한 硏究 仁川市 近代 建築物의 外觀 意匠에 관한 硏究 仁川愛/인천이야기 2020-04-29 02:29:28 인천시 근대건축물의 외관의장에 관한 연구 - 日本 租界地이었던 中區 中央洞 地域을 中心으로 일본강점기시절 제물포의 금융가의 재현풍경 * 논문의 파일용량이 다음업로드 허용 용량보다 큰 관계로 파일을 업로드할 수 없습니다. 필요하신 분께서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 받아 보시면 되겠습니다.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de106b26606bf191 저자 김태영 발행사항 용인 :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7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명지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1998. 2 발행연도 1.. 2023. 7. 3.
開港期 仁川 租界地 社會의 葛藤과 社會問題 開港期 仁川 租界地 社會의 葛藤과 社會問題 仁川愛/인천이야기 2020-04-29 01:41:54 개항기 인천 조계지사회의 갈등과 사회문제 목차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Ⅱ. 신종범죄와 사회 문제들 = 5 1. 화폐의 위조 = 7 2. 매춘의 성행 = 13 3. 두형의 문란과 밀무역 = 17 저자 민윤 발행사항 서울 : 西江大學校, 2009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西江大學校 敎育大學院 歷史敎育專攻 2009 발행연도 2009 작성언어 한국어 KDC 911.059 4 DDC 951.902 21 발행국(도시) 서울 형태사항 v, 64장 ; 26 cm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58-62 소장기관 국립중앙도서관 , 서강대학교 도서관 2023.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