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01

만국공원 만국공원 인천의문화/인천배경책과영화&문학 2020-08-11 23:53:29 최 성연선생 기증 사진집 - 60년대의 인천풍경에서 만국공원 이인석 (1) 층계를 올라서면 바다가 보이고 호수처럼 수목들의 내음이 몰려온다 아카시아....... 파편에 허리를 뚫리고도 풍만에 겨운 계절의 향기를 던지누나 사철나무 라일락 오, 네 이름은 무엇이던가 죽는 줄만 여긴 너도 꽃 피울 차비에 분망하구나 포탄이 우박처럼 내린 상흔에 서서 푸름을 이어 가기에 모두는 쉬임과 슬픔을 잊었느냐 푸른 내음은 깊은 곳에 자리한 밀어 또한 다함 없는 침묵의 변 네 안에서 나를 찾아 본다 (2) 안개 속에 잠겼던 거리 햇볕을 받들고 떠 오른다 아침 일곱 시....... 노동자들이 한 패 두 패 부두쪽으로 사라진다 조개장사 아낙네들이 거리.. 2023. 7. 4.
江華衙門圖 (Yamoun du gouverneur, a Kang-hoa) 江華衙門圖 (Yamoun du gouverneur, a Kang-hoa) 인천의관광/인천풍경 2012-08-01 21:39:36 江華衙門圖 (Yamoun du gouverneur, a Kang-hoa) 서양인이 강화아문의 전경을 그린 그림. (고종시대) 2023. 7. 4.
오례당 오례당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12-07-20 14:40:20 오례당(吳禮堂) 중구 송학동 2가16번지 있던 인천 유일의 붉은 벽돌집이었다.새까만 오석 슬레이트 지붕과 붉은 벽돌로 쌓은 외벽,티크나무로 짠 유리창이 우아한 2층 건물이었다. 초창기 인천해관 통역관으로 근무한 청국 외교관 출신 오례당(吳禮堂)이 전임지 스페인에서 결혼한 스페인 출신 부인의 간청에 따라 1909년에 지은 호화저택이었다. 광복 후 미군 장교 숙사로 쓰이다가 우리 군 특수부대가 주둔하던 중 1960년대 실화로 소실되고 말았다. 2023. 7. 4.
홍예문 위 사이렌 홍예문 위 사이렌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12-07-20 14:31:43 1906년 2월 9일부터 육군성에서 불하받은 대포를 인천관측소 아래 응봉산 중턱에 설치해 정식으로 오포를 발사하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이 산을 오포산(午砲山)이라고 불렀다. 1925년 오포제는 폐지되었고 대신 1931년 7월 1일부터 홍예문 위에 세워진 소방대 망루에서 시보(時報) 사이렌이 울렸다. 이 사이렌은 1960년 대 초까지 운영되었다. 2023. 7. 4.
인천사람 스토리텔링 앨범 中 신포동에서 인천사람 스토리텔링 앨범 中 신포동에서형과니이야기/일상이야기2022-01-04 00:45:05https://youtu.be/ZCHdX9L336A?si=cShANI3xje-xcc1L  오늘 택배로 앨범 하나가 도착했습니다.인천사람 스토리텔링 앨범입니다. 앨범 속에 저의 詩 하나가 선정되어 "신포동에서"라는 노래 한 곡이 실렸습니다. 제 노랫말에 가락을 넣어 주신 작곡가 최 경숙님과 노래를 불러주신 가수 강 헌구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C.D 인줄 알았는데, U.S.B.라서 사용하기 매우 좋습니다. C.D플레이어가 없어 mp3 파일로 변환해서 들을 생각이었습니다. 작곡가 최 경숙님은 앨범의 머리글에 인천사람의 정체성을 질문하면서 다중의 화자에게 인천사람인가를 묻습니다. 사실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역사.. 2023. 7. 4.
원우전(元雨田) 원우전(元雨田) 仁川愛/인천의 인물 2020-05-21 01:04:36 토월회와 칠면구락부와 무대미술의 개척자, 원우전 토월회와 칠면구락부와 무대미술의 개척자, 원우전 김윤식/시인·인천문협 회장 ▲ 토월회 기사 사진 진우촌(秦雨村)이나 원우전(元雨田)이나 다 같이 인천 연극의 ‘할아버지’임에 틀림없다.. 원 우전 선생의 조카 우 병호씨께서 블로그의 원 우전선생의 글을 보시고 보내주신 대동강그림과 극단에서 받은 감사장 원우전(元雨田) #연극인물#일제강점기#토월회#조선연극사#동양극장 등에서 활동한 무대미술가. 정의 일제강점기 토월회, 조선연극사, 동양극장 등에서 활동한 무대미술가. 1923년 극단 토월회(土月會)에 참여하여 이승만(李承萬)과 함께 새로운 무대장치를 만들기 시작하였으며, 신파극의 일본식 무대가.. 2023.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