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이야기

인천의 역사 달력

by 형과니 2023. 3. 10.

인천의 역사 달력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4 20:03:16

 

 

1

 

이승훈 연경 남천주당에서 그리몽 신부로부터 영세(1784.1)

인천 개항(1883.1.1)

갑오 농민 전쟁 시작(1894.1.10)

하와이 이민 인천 출발(1903.1)

조선 일일신문, 척식회사의 무용론을 주장하여 발행 정지당함(1910.1.18)

인천 미군 유류 보급창 노동자 460여명 부당 해고 항의 농성(1957.1)

인천에 계양, 영종도, 용유도 편입(1989.1.1)

 

 

2

 

이자겸의 난(1126.2)

강화도 조약(개항 조약) - (1876.2.26)

경인 철도 회사 임금 인상 파업(1901.2)

일본군 인천 해상에서 러시아 함정 2척 격파, 러일 전쟁 시작(1904.2.8)

9월의 문화 인물 우현 고유섭 용동에서 출생(1905.2.2)역사

의병장 여영일 등 4명 개성서 체포되어 인천 경찰서로 이송됨(1909.2.16)

인천 청년동맹 정기 대회를 경찰이 무조건 불허함(1929.2.23)

인천 노동 조합 운동을 전개하다 체포된 정용용 등 3명에 대해 징역 강요(1935.2.1)

 

 

3

 

인천 청관 지계 장정 조인(현 선린, 북성동 일대)-(1884.3.7)

경인 철도 기공식(1897.3)

멕시코 이민 1033명 인천 출발(1905.3)

인천 신상회사 해산(1910.3)

인천 공립상업 학교와 보통학교 학생들이 항일 시위 전개(1919.3.2)

인천 부내 학생들의 항일 시위(1919.3.6)

한국인 상가 철시로 항일 시위(1919.3.30)

인천 정미 여공 조합 3000여명 총파업(1926.3.22)

부평읍 장날에 군중 수백명이 독립 만세 시위, 읍내로 행진하다가 일본군 총탄에 6명 사망(1934.3.24)

 

 

4

 

수명의 군중들이 월미도에서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 시위(1919.4.1)

제암리 교회당 대학살 사건(1919.4.15)

"새 가정" 창간호 원고를 인천 서원에 압수당함

 

 

5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화도진) - (1882.5.22)

일본인 90여명 이주(1883.5)

갑오 농민 전쟁으로 일본군 인천 도착(1894.5.9)

제물포에 사는 전경택이 애국가를 독립 신문에 발표(1896.5.19)

근우회(여성의 지위 향상 및 계몽 운동 단체) 창립(1927.5)

인천 신간회의 구제 사업인 손수건 판매를 중지시킴. 인천 상업학교 학생 200여 명이 강당에서 만세 시위, 주모자 17명 구속(1929.5)

애관 극장에서 '삐라'가 배포됨. 협의자 김보안 등 명 체포당함(1932.5.2)

인천 경찰서 '어린이 날' 기 행진을 금지시킴(1936.5.4)

장 면 부통령 당선(1956.5.15)

 

 

6

 

무위영 군병 폭동(임오군란)-(1882.6.9)

일본 공사 "화방" 일행 인천 탈출(1882.6.15)

전원국 신주 당오전 통용(1884.6)

인천 부산의 25객주제 일본 반대로 철폐(1890.6)

인천 부민 수백명, 인천 감리서를 습격, 각 청을 파괴하고 관속을 구타(1894.6.14)

인천 한용단 창립(1920.6)

인천부에서 대동단원 이존연 등이 체포됨(1920.6.20)

인천항 인부 200여 명 작업 방식을 이유로 파업 강행(1925.6.1)

인천 부두 노동자 1,000여 명 총파업(1935.6.12)

9월의 문화 인물 우현 고유섭 사망(1944.6.26)

장창선 세계 아마 레슬링 선수권 금메달(1966.6)

 

 

7

 

의천 속장경 완성(1096.7)

임오군란으로 제물포 조약 체결, 일본에 배상(1882.7.17)

인천 부민 수백 명이 모여 감리서를 습격(1893.7.26)

인천 부민 5~6백 명이 관할부에 몰려가 난동(1896.7)

인천, 평양 등지에서 피습 사건 연발(1931.7.3)

경기도, 학생의 문맹 퇴치 운동을 금지시킴(1934.7.2)

인천부 청년당 결성(1941.7.20)

조봉암 처형(1959.7.31)

경인 고속 도로 개통(1969.7)

인천직할시 승격(1981.7.1)

 

 

8

 

운양호 사건(영종진 점령) - (1875.8)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1882.8)

부평 지방 독립 운동의 선봉장 심혁성 탄생(1888.8.15)

신간회 간부 인사 유두희, 고일, 조준상 등이 체포됨(1928.8.8)

일본 제국 통치하에서 해방, 대한 제국 군함 '광제호' 비장의 태극기를 게양함(1945.8.15)

미군 일부 인천 상륙(1945.8.25)

인천부로 개칭(지방 자치제) - (1949.8.15)

김활란 막사이사이상 수상(1963.8)

 

 

9

 

인천내에서 일본인에 대한 치외 법권 인정(1883.9.30)

인천항 일본 지계 차입 약정서 조인 - 중앙동 해안 일대 7천평(1883.9.30)

인천 - 노량진간 철도 개통(1899.9.18)

시흥에서 수천명의 군중이 경인철도 강제 사역에 반발 시위, 군수와 일본인 2명 살해(1904.9.14)

인천 ' 본보기' 소년회 창립(1923.9.22)

문화부에서 9월의 문화 인물로 우현 고유섭 지정

 

 

10

 

화도진 폐쇄(1894.10)

제물포에 사는 곽일이 '자유당'을 조직하여 그 가입을 권유하다 최진한과 함께 체포됨(1896.10.6)

인천의 13개 정미소 여공 3,000여명 조합 결성(1924.10.12)

 

 

11

 

인천, 부산, 원산의 개항장에 해관 신설(1883.11.1)

인천 제물포에서 각국 조계 장전 조인(1884.11.7)

인천에 전환국 신축, 양식 화폐 주조(1892.11)

갑오 농민군 공주에서 접전, 일본군에 대패(1894.11.12)

경인 철도 완전 개통, 경인간 시외 전화 개통(1900.11.12)

영국인 해밀턴, 일본인과 합자 연초 회사 설립(1903.11)

인천 격문 사건 혐의자 이덕근, 심우택, 고의명 등이 평양서 체포당함(1932.11.19)

인천에 숨어 들어온 상해 소년 동맹원 이제천 체포당함(1935.11.16)

조봉암 진보당 창당, 위원장 취임(1956.11.10)

 

 

12

 

최초의 양옥인 인천 세창 양행 설립(1884.12)

인천에 영미 연초 공장 설립. 생산 개시(1899.12)

인천 메리야스 직공 1천 수백명 동맹 파업(1923.12)

신간회 인천 지회 창립(1927.12.5)

남경 군관 학교생을 모집하던 서판암 체포당함(1936.12)

 

 

'인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하대 연인나무  (0) 2023.03.10
바다 개척의 해안 매립  (0) 2023.03.10
개척정신이 이어져 내려오는 강화  (0) 2023.03.10
동양최대의 갑문도크  (0) 2023.03.10
옹진군 각 지역의 생활터전  (2) 2023.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