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역사

백제의 대중국 통교의 관문, 능허대

by 형과니 2023. 4. 25.

백제의 대중국 통교의 관문, 능허대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05-16 11:09:42

 

백제의 대중국 통교의 관문, 능허대

김상열(송암미술관 학예연구실장)

 

우리 민족은 많은 위기를 극복하면서 반만년의 역사를 발전시켜 왔다. 그동안 인천은 이러한 국난 극복의 현장이 되기도 했다. 신구(新舊)문화가 교차하던 격동의 시대에 개항을 통해 민족 근대화의 첨단에 서기도 했고, 최근 IMF라는 금융위기 상황에서 인천국제공항과 송도신도시를 건설하면서 동북아시아의 허브도시로 거듭나기도 했다.

 

 

 

능허대 옛 모습

 

 

# 능허대의 등장

 

능허대는 백제 근초고왕 27(372)부터 웅진(공주)으로 옮겨가는 개로왕 21(475)까지 100여 년간 중국으로 내왕하는 사신들이 머물던 객관(客館)으로, 1990년 인천광역시지정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에서 후풍(候風:바람을 기다리는 것)하던 사신이 도호부 서쪽 10리 다소면(多所面)에 위치한 한나루(大津)에서 배를 타고 중국 산동(山東)반도의 등주(登州)에 도달했던 것이다.

 

 능허대가 백제의 대중국 통교의 관문으로 활용되기 시작하는 것은 근초고왕대의 일이다. 근초고왕 27(372)에 중국의 진에 처음으로 사신을 보내 대중관계를 맺었고, 그 다음해에도 사신을 보내 조공했다고 한다. 이에 진은 근초고왕을 진동장군영낙랑태수로 봉책했는데, 이는 백제가 중국의 공식적인 외교대상이 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고구려 고국원왕의 침입을 받은 백제는 369년과 371년에 고구려군을 두 차례 격퇴했는데, 두 번째 전투에서 평양성을 공격해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마한의 잔여세력을 복속한 백제는 고구려의 위협적인 존재로 성장하면서 마한을 대신하는 한반도 서남부 지역의 중심국가로 부상하게 되면서 중국의 진과 외교관계가 성립된 것이다. 그러나 고국원왕의 전사로 인해 고구려와 적대관계에 놓인 백제는 육로를 통해 중국과 통교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에 해로를 이용해 통교해야만 했다. 백제가 이 때 이용한 해상교통로가 등주항로(登州航路)였다.

 

사모지고개로 가는 길

 

 

 등주항로는 한강 하류역인 인천의 능허대를 출발해 덕물도(덕적도)를 거쳐 중국 산동반도의 등주에 이르는 항로이다. 이는 백제를 공격할 때 당의 소정방(蘇定方)이 이용한 항로가 산동반도의 내주에서 덕물도를 거치는 항로였음에서도 알 수 있다. 인천이 백제사신의 출항지가 된 것은 서해로 빠지는 한강 하류의 길목에 위치하고 있다는 지리적인 조건과 함께 인천이 전통적인 해상활동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등주항로는 비교적 안전한 항로였다고는 하지만, 개로왕이 북위에 보낸 국서에도 나타나듯이 당시의 조선기술이나 항해술로 비추어볼 때 사신을 중국으로 파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었다. 근구수왕 5(379)에 동진으로 파견된 사신은 악풍을 만나 회항하는 등 총 65회 중 3차례나 중도에 회항한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백제는 ()’으로 표현된 대형 선박을 이용했고, 488~490년의 해전에서 북위 선단을 격파할 정도로 비상한 해전능력을 보유하고 있었기에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중국과 통교할 수 있었던 것이다.

 

 

능허대 정자모습

 

# 능허대라는 명칭

 

 하늘을 높이 나른다라는 능허라는 명칭에 대해서는 중국의 문헌뿐 아니라 중국의 경승지나 건물에도 능허대라는 명칭이 많이 등장하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많이 나타난다. 조선시대 박민의 호가 능허이며, 장조(사도세자)의 문집도 능허관만고(凌虛關漫稿)이다. 건물에 사용한 것은 능허정이 가장 많다. 1691년 창덕궁에 건립된 것을 비롯해 삼척 등 각지의 정자의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울진현에 능허루’, 보령현에 능허관’, 진주목에 능허당등이 있었으며, ‘능허대라는 명칭은 황해도 해주, 강원도 울진과 고성에도 있었다. 이렇듯이 능허라는 명칭은 허공을 가른다’, ‘승천하다’, ‘비상하다등의 뜻을 가진 길상어로 관용화된 표현이었으며 중국과 조선시대에 보편화되어 해변의 절경지에 많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일본인들이 간행한 인천부사에는 능호대(凌壺臺)’로 표기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어 발음에서 온 오기이다.

 

# 능허대와 한나루

 

능허대(재현)

 

 

 능허대에 대해서 시민들이 갖고 있는 큰 오해는 발선처(發船處)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능허대는 백제의 사신들이 배를 타고 출항하던 포구가 아니라, 그들이 후풍하며 머물던 객관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여지도서(輿地圖書)인천도호부 형승조(形勝條)에는 대진(大津)은 부서 십리 다소면(多所面)에 있으며, 삼국이 정치(鼎峙)하였을 때 고구려에 의하여 백제의 조천로가 경색되었으므로 중국으로 들어가는 사신이 이곳에서 배를 띄워 산동반도의 등주·래주에 도달하였다. 능허대가 부서 10리 원우미면(또는 원우금면)에 있는데 청량산 자락이 해변으로 들어가 100척의 높이로 가파르게 솟아 있고 위에는 30여 명이 앉을 만하며 대양을 바라보매 막힘이 없었다. 대진은 백제가 조천할 때의 출선처이다. 그 밑에 기암이 있다. 전하기를 백제사신이 기녀를 데리고 와서 후풍하다가 막상 배에 오르던 날 원별(遠別)의 정을 이기지 못한 기녀가 바위에 떨어져 죽었기 때문에 후인들이 그 바위를 기암이라 하였다고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기타 읍지에도 비슷한 기록이 보이고 있다.

 

 기록에 따르면 대진과 능허대가 각각 다소면과 원우미면에 소속되어 있어 조금 떨어져 있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가는 벼랑으로 나 있는 오솔길, 넓은 모래벌에 끊어진 언덕이라 표현한 탄옹의 시구에서도 알 수 있듯이, 능허대는 해안 섬처럼 솟아있는 전망대 구실을 한 곳이고, 중국으로 향하던 선박의 발선처는 대진이었음을 알 수 있다. 백제의 사신과 기생과의 애틋한 사랑을 전하는 기암전설에서도 능허대는 후풍하는 백제사신들의 객관이 있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인천은 바다와 연하고 있는 지리적 요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역사를 발전시켜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근래에 있었던 개항은 작은 포구였던 인천을 근대문화의 교류중심지로 부상(浮上)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외세에 의한 개항이라는 부정적 견지에서 인천 능허대를 최초의 개항으로 보고자하는 견해가 개진되기도 한다. 또한 근대화된 항만과 국제공항을 갖춘 인천은 자유무역구역으로 개발되면서 세계의 명품도시로 도약하고 있다. 이러한 연유로 인천이 갖는 고대 교통의 정신을 상징하는 유적으로 능허대가 어느 때보다 주목받고 있다. 연수구의 능허대축제개최와 송도신도시로의 이전복원이 계획되는 등 능허대의 관심도는 가히 높다할 수 있다. 그러나 능허대에 관한 역사적 고찰은 매우 엉성하다. 이는 대진과 능허대를 혼동하는 오해가 야기되는 원인이기도 하다. 위기를 극복한 인천지역의 고대 교통의 정신은 충분히 평가받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역사적 고증을 통한 의미부여가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 자료제공 =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

 

 

 

 

 

 

 

 

 

'인천의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상교통과 자연도의 경원정  (0) 2023.04.25
인천의 호족과 ‘7대어향’  (0) 2023.04.25
인천의 고인돌  (0) 2023.04.25
인천지명의 탄생  (0) 2023.04.25
동북아 중심지, 인천  (0) 2023.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