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사람들의 생각

인천을 ‘인천답게’ 하려면

by 형과니 2023. 5. 8.

인천을 ‘인천답게’ 하려면

仁川愛/인천사람들의 생각

2008-06-24 13:09:04


인천을 ‘인천답게’ 하려면

유진수 희망을 만드는 마을사람들 사무처장

인천이 사라지고 있다. 마치 작심이라도 한 듯이 도시개발이라는 거대한 지우개는 ‘인천스러운 것’을 하나씩 지워가고 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는 인천의 정체성을 이야기한다. 인천의 정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항과 일제시대, 전쟁과 근대화를 거치면서 잃어버렸던 인천지역 유무형의 전통문화를 되찾고, 이를 역사적·문화적 유산으로 체계적으로 보존하면서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것이 기본이다.

‘인천의 두바이화’를 꿈꾸는 위정자들에게는 구질구질한 인천의 근대역사가 뭐 그리 대단한 것이라고 보존까지 하냐고 할 것이다. 싹 밀어버리고 아파트나 초고층 건물로 단장을 하든가, 아니면 달동네박물관처럼 그 속으로 밀어 넣어버리면 된다고 생각할 것이다.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찾아 볼 수 없고, 박제가 되어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다면 이곳이 인천인지, 서울인지 구분할 수 없다.

더구나 인천을 세계적으로 알리는 행사를 한다면서 무엇으로 인천의 모습을 보여 줄 것인가. 과연 인천이 얼마나 다른 세계의 도시들을 닮았는지 외국인들이 궁금해 할까. 때문에 이제라도 인천의 역사를 이야기할 수 있는 역사문화를 하나씩 발굴하고 보존해야 한다. 특히 개인 소유의 근대건축물에 대한 발굴·보존은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우리는 역사성을 갖고 있는 건축물에는 큰 관심을 갖지만, 개인소유의 근대건축물에 대해서는 별다른 의미를 갖지 않고 있다. 더구나 일제시대 건축물은 문화재적 가치여부를 떠나 정서적 반감을 가지고 있어 철거에 아무런 문제의식이 없다. 근대건축물은 역사를 이어주는 다리의 역할을 한다. 그것이 공적 소유이거나 개인적 소유의 구분없이 역사의 선상에 있는 것이다.

프랑스는 수십 년 전부터 20세기 건축문화유산의 범위를 확장해 가고 있다. 두 차례의 세계대전 사이에 있었던 현대건축운동의 결과로 지어진 건축물뿐 아니라 1950~60년대의 건축물들, 심지어 1980년대 건축물들도 역사 유적의 라벨을 부여받고 있다.

역사유적에 관한 법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20세기의 건축물은 지하철역, 상점, 교회, 정원, 영화관 등 그 범위가 광범위하여 1997년까지 1천9개의 문화재가 등록되었다. 그 중 350개 이상이 가정집으로 가장 많았다.

개인소유의 근대건축물들은 당장의 문화재적 가치가 있고 없고를 떠나 인천의 역사와 개인의 역사를 채워왔다. 극장이라면 한 세대의 추억이 담긴 곳이고, 가정집이라면 가족의 역사가 고스란히 새겨져 있는 곳이다. 급격한 도시개발과정에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는 소중한 근대문화유산을 이제라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보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지난 2001년에 등록문화재제도가 도입, 시행되고 있지 않은가.

물론 중요한 것은 소유주의 의지이다. 아마 소유주들이 개발이익을 최대한 얻으려는 심리에 따라 등록을 거부하는 사례가 많을 것이다. 개인의 이익보다는 역사적 가치를 되살리려는 먼 미래를 내다 볼 줄 아는 개인의 인식 전환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러나 개인에게만 강요할 수 없는 일이다. 행정당국이 해당 건축물의 보수공사비용 보조, 세금감면을 비롯한 제도적 지원을 확대하여야 하며 후손들에게까지 이어지는 자긍심이 될 만한 보상을 해줘야 한다.

인천시가 중구 해안동의 근대건축물 9개동을 미술문화공간으로 조성하고, 중구는 일본식 건축물을 보수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소유의 근대건축물에 대해서는 어떻게 관리하는지 알 수 없다.

인천시는 개발이익을 확대하는 데만 급급해 하지 말고 오히려 개발이익의 일부를 개인 소유의 근대건축물 보존, 관리에 투자함으로써 마을의 ‘장소’가 되고, 랜드마크가 되도록 해야 한다. 관광이니 문화산업이니 하는 천박한 실용주의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아닌 사람이 살아가고 있는 인천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진지한 고민과 실천이 필요하다. 제발 인천을 ‘인천답게’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