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사람들의 생각170

인천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2 인천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2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3 19:26:06 인천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2 인천은 살아 있는 근대사 박물관이다 터진개문화마당황금가지. 개항장역사문화연구소. 대표 이 종복 1. 들머리 글 소래산을 꼭두머리로 해서 관모산, 상아산, 만월산(주안산), 철마산, 계양산 등으로 이어지는 산의 꼭지점들을 점점이 이어서 보면, 백두대간의 굳센 근육들이 인천이라는 도시 한 가운데를 가로질러 뻗어 가고 있음을 알 수가 있습니다. 예로부터 백두대간의 기운이 녹녹히 서린 땅에서는 사람이 살기에도 좋고 또한 훌륭한 인물이 많이 배출된다고 합니다. 역사가 기록되기 이전, 인천 지역에 살았던 선인들에 의해서 세워진 일백여기 고인돌 문화의 주인공들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느끼게 해주는 증거가 됩니.. 2023. 3. 9.
인천 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1) 인천 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1)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3 19:22:57 인천 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강사 : 이 종 복 시인. 개항장 역사 문화 연구소장 들어가는 말. 인천의 역세권은 북(北)으로 김포와 서울에 맞닿아 있고, 동남(東南)으로는 안산, 시흥, 부천시 등과 인접해 있으며, 서(西)로는 서해를 모체로 영종도, 덕적도, 영흥도, 무의도, 대부도, 강화도 등의 섬들이 병풍처럼 두르고 있는 전형적인 해양 인접 지역입니다. 고대 국가의 형성 시기부터 해외무역과 군사시설의 요충지였던 인천은, 고대 백제 시대에 중국과 통교하는 관문으로써 그 역할이 지대했던 곳(凌墟坮능허대)이기 때문에 고구려와 더불어 신라가 치열한 국지전을 벌이기도 했던 현장이기도 했습니다. 선진 중국의 문물과 학문, 나아.. 2023.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