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문화재89 욕은지(浴恩池) 욕은지(浴恩池)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문화재자료 제1호 (계양구) 명 칭 욕은지(浴恩池)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주거시설 수량/면적 288㎡ 지 정 일 1983.03.02 소 재 지 인천 계양구 계산동 943 (부평초등학교내)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리자(관리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문화공보실 032-450-587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인천시 계양구 부평초등학교에 자리한 욕은지는 학교 동쪽에 있는 어사대와 함께 있다. 원래 다른 곳에 있던 것을 조선 고종 24년(1887)에 새로이 고쳐 지으면서 이곳으로 옮겼다. 돌을 쌓아 가로 18m, 세로 16m의 크기로 만든 연못으로, 가운데에 둘레 7m의 돌산을 만들어 풀과 .. 2023. 6. 10. 이선봉묘역 이선봉묘역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53호 (계양구) 명 칭 이선봉묘역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3기 지 정 일 2004.04.06 소 재 지 인천 계양구 동양동 152-5 시 대 기타 소유자(소유단체) 대한주택공사 관리자(관리단체) 대한주택공사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문화공보실 032-450-587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조 성종의 12남 무산군 손자인 이선봉(1578∼1660)은 순평군에 봉해졌으며 부평 동면(현 동양동)에 낙향하여 정착하였고 그의 아들 이필혐은 한성판관을 지냈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이선봉의 아내 엄씨와 그의 며느리인 이필혐의 아내 숙인 구씨가 강화성으로 피난하였는데 마침 청군이 강화에 상륙함에 따라 엄씨는 스스로 자결을 하.. 2023. 6. 10. 이찰·이율형제정려(이찰·이율형제정려) 이찰·이율형제정려(이찰·이율형제정려)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52호 (계양구) 명 칭 이찰·이율형제정려(이찰·이율형제정려)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2004.04.06 소 재 지 인천 계양구 갈현동 산73-6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전주이씨임영대군파덕풍도정종친 관리자(관리단체) 전주이씨임영대군파덕풍도정종친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문화공보실 032-450-587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 세종의 아들인 임영대군의 후손인 이찰·이율 형제는 광해군 6년(1614)에 명문가에서 태어나 행실이 바르고 효성이 지극했던 형제는 어릴 때 부친이 병들어 눕자 곁을 떠나지 않고 백방으로 약을 구하여 극진히 봉양하였다. 부친이 위독해.. 2023. 6. 10. 영신군이이묘(永新君李怡墓) 영신군이이묘(永新君李怡墓)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43호 (계양구) 명 칭 영신군이이묘(永新君李怡墓)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일원 지 정 일 1999.03.29 소 재 지 인천 계양구 작전2동 산2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전주이씨효령대군파영신군종회 관리자(관리단체) 전주이씨효령대군파영신군종회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문화공보실 032-450-587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영신군 이이(李怡) 부부의 묘를 비롯한 그 자손들의 묘이다. 영신군 이이는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손자이자 의성군 채(采)의 여섯째 아들이다. 자는 화보(和甫)로 조선 단종 2년(1454)에 출생하여 정의대부(正義大夫) 영신군(永新君)에 봉해졌고 부평에 낙향.. 2023. 6. 10. 계산동은행나무(桂山洞銀杏나무) 계산동은행나무(桂山洞銀杏나무)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11호 (계양구) 명 칭 계산동은행나무(桂山洞銀杏나무)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면적 1주 지 정 일 1992.05.15 소 재 지 인천 계양구 계산동 943번지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리자(관리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문화공보실 032-450-587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또.. 2023. 6. 10. 계양산성(桂陽山城) 계양산성(桂陽山城)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10호 (계양구) 명 칭 계양산성(桂陽山城)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 수량/면적 일곽 지 정 일 1992.05.15 소 재 지 인천 계양구 계산2동 산 8번지외 14필지 시 대 삼국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인천광역시 외 42인 관리자(관리단체) 계양구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문화공보실 032-450-587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계양산 동쪽 능선에 있는 이 산성은 돌로 쌓은 성으로, 고산성이라고도 부른다. 성을 쌓은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보문헌비고』, 『관방성곽조』에 의하면 성둘레가 1937보(步)라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는 대부분의 성곽이 .. 2023. 6. 10. 이전 1 2 3 4 5 6 7 8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