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문화재89

조서강 묘 (趙瑞康墓) 조서강 묘 (趙瑞康墓)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제6호 (서구) 명 칭 조서강묘(趙瑞康墓)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90.11.09 소 재 지 인천 서구 석남동 산119-2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백천조씨위공경은당파종중 관리자(관리단체) 백천조씨위공경은당파종중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서구 문화공보실 032-560-4343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 초기의 문신인 경은(耕隱) 조서강(?∼1444) 선생의 묘소이다. 태종 14년(1414)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간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세종 25년(1443)에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세종 13년(1431)에는『태종실록』편찬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며, 이조판서 역임후 사직할 것을 청하고 부친 조반의 별.. 2023. 6. 9.
류사눌 묘 (柳思訥墓) 류사눌 묘 (柳思訥墓)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5호 (서구) 명 칭 류사눌묘(柳思訥墓)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90.11.09 소 재 지 인천 서구 경서동 산200-1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문화류씨문숙공파종회 관리자(관리단체) 문화류씨문숙공파종회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서구 문화공보실 032-560-4343 일반설명 | 전문설명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인 문숙공 유사눌(1375∼1440) 선생의 묘소이다. 태조 2년(1393)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간 후 홍주 목사, 경상도 도관찰사 등을 거쳐 예문관 대제학에 올랐다. 대제학 재직시 악학제조를 겸하여 박연(朴堧)과 함께『아악보』를 완성하였고, 1435년에는 구악(舊樂).. 2023. 6. 9.
심즙신도비(沈楫神道碑) 심즙신도비(沈楫神道碑)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제32호 (서구) 명 칭 심즙신도비(沈楫神道碑) 분 류 기록유산 / 서각류/ 금석각류/ 비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95.11.14 소 재 지 인천 서구 공촌동 산8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심재갑 관리자(관리단체) 심재갑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서구 문화공보실 032-560-4343 일반설명 | 전문설명 신도비는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비로, 이 비는 조선 인조 때의 문신인 심즙(1569∼1644) 선생의 행적을 기리고 있다. 심즙은 28세 때인 선조 30년(1597) 과거에 급제하여 형조 ·공조 ·예조판서를 맡아보았다. 특히 이괄의 난이 일어나 왕이 공주로 처소를 옮길 때에 왕을 모시고 따라간 공이.. 2023. 6. 9.
인천신현동회화나무(仁川 新峴洞 회화나무) 인천신현동회화나무(仁川 新峴洞 회화나무)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천연기념물 제315호 명 칭 인천신현동회화나무(仁川 新峴洞 회화나무)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문화역사기념물/ 민속 수량/면적 676㎡(보호구역) 지 정 일 1982.11.04 소 재 지 인천 서구 신현동 131-7외 6필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사유 관리자(관리단체) 인천시 서구 일반설명 | 전문설명 회화나무는 모양이 둥글고 온화하여 중국에서는 높은 관리의 무덤이나 선비의 집에 즐겨 심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이 들여와 향교나 사찰 등에 심었다. 특히 회화나무는 활엽수 중 공해에 강한 나무로 가로수나 공원수로도 활용된다. 인천 신현동의 회화나무는 나이가 약 500살 정도로 추정되며, 높이 22m, 가슴높이.. 2023. 6. 9.
인천녹청자도요지(仁川綠靑磁陶窯址) 인천녹청자도요지(仁川綠靑磁陶窯址)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사적 제211호 명 칭 인천녹청자도요지(仁川綠靑磁陶窯址) 분 류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요업/ 도자기가마 수량/면적 5,809㎡ 지 정 일 1970.06.08 소 재 지 인천 서구 검암동 산438-21 시 대 고려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유,사유 관리자(관리단체) 기타 일반설명 | 전문설명 인천 검안동 일대에서 10∼11세기에 걸쳐 청자를 만들었던 5∼6기의 고려 가마터 이다. 가마터 주위 지세는 얕은 비탈을 이루며 바다로 이어져 있다. 현재는 발굴조사시 드러난 가마의 남은 부분에 보호각을 지어 보존하고 있지만, 나머지 일대는 골프장으로 변해있다. 발굴 당시 가마 1기를 조사하여 많은 녹청자조각과 가마도구들을 발견하였다. 가마는 자연 경사.. 2023. 6. 9.
조병수가옥(中區南北洞趙炳秀家屋) 조병수가옥(中區南北洞趙炳秀家屋)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문화재자료 제16호 (중구) 명 칭 중구남북동조병수가옥(中區南北洞趙炳秀家屋)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가옥 수량/면적 2동 지 정 일 1997.07.14 소 재 지 인천 중구 남북동 868 시 대 대한제국시대 소 유 자 조병수 관 리 자 조병수 1890년에 세운 중류층 주택이다. 대문채와 안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면이 끊어진 ㅁ자 형태이다. 안채는 앞면 3칸·옆면 1칸 반 규모이며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안방과 건넌방을 배치하였다. 안방 옆에는 부엌을 달았으며 부엌 천장 일부를 낮추어 안방에서 사용하는 다락방을 꾸몄다. 대문채는 출입문인 대문을 중심으로 동쪽에는 사랑방을, 서쪽에는 방 1칸과 창고를 두었는데 방 앞에는.. 2023.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