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문화재89

용동큰우물(龍洞큰우물) 용동큰우물(龍洞큰우물)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민속자료 제2호 (중구) 명 칭 용동큰우물(龍洞큰우물)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주거건축/ 주거시설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96.06.12 소 재 지 인천 중구 인현동 90-13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국(건설부) 관 리 자 중구 조선 고종 20년(1883) 인천항구의 개방과 함께 만들어 놓은 우물로, 오랫동안 이곳 주민의 생활용수와 식수원이 되어 왔으나, 수도의 보급으로 지금은 사용되지 않아 우물의 형태만 그대로 남아 있다. 우물안은 자연석과 다듬은 돌로 둥글게 쌓아 원기둥을 이루고, 땅위로 보이는 윗부분은 둥근 형태의 콘크리트로 되어있다. 1967년 우물을 보호하기 위해 기와지붕을 올린 6각 정자를 세워 두었는데, 유명 서예가.. 2023. 6. 9.
제물포고등학교 강당(濟物浦高等學校 講堂) 제물포고등학교 강당(濟物浦高等學校 講堂)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등록문화재 제427호 명 칭 제물포고등학교 강당(濟物浦高等學校 講堂)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교육시설/ 교육시설 수량/면적 1동 지하1층 지상1층 건축면적 495.87㎡, 연면적 628.1㎡ 지 정 일 2008.10.27 소 재 지 인천 중구 전동 26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 인천광역시교육청 2023. 6. 8.
구 인천부 청사(舊仁川府 廳舍) 구 인천부 청사(舊仁川府 廳舍)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등록문화재 제249호 명 칭 구 인천부 청사(舊仁川府 廳舍)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업무시설/ 업무시설 수량/면적 1동 지하1층 지상3층 건축면적 694.2㎡ 연면적 2,014.7㎡ (증축된 3층부분 593.3㎡ 포함) 지 정 일 2006.04.14 소 재 지 인천 중구 관동1가 9-1 시 대 일제강점기 소 유 자 인천광역시 중구청 1933년에 건립되어 인천부청사로 사용된 모더니즘 양식의 건축물 2023. 6. 8.
공화춘(共和春) 공화춘(共和春)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등록문화재 제246호 명 칭 인천 선린동 공화춘(共和春)(仁川 善隣洞 共和春)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상업시설/ 상업시설 수량/면적 1동, 2층 건축면적436.35㎡ 연면적846.26㎡ 지 정 일 2006.04.14 소 재 지 인천 중구 선린동 38-1, 38-2 시 대 대한제국시대 소 유 자 손광인, 우심강 ­1905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건물로 국내의 자장면 발상지 2023. 6. 8.
대한민국 수준원점(水準原點)(大韓民國 水準原點) 대한민국 수준원점(水準原點)(大韓民國 水準原點)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등록문화재 제247호 명 칭 대한민국 수준원점(水準原點)(大韓民國 水準原點) 분 류 등록문화재 / 기타/ 공공용시설/ 공공용시설 수량/면적 수준원점표석(보호각 포함) 보호각직경 3.3m 높이 3.36m 지 정 일 2006.04.14 소 재 지 인천 남구 용현동 253 (인하공업전문대학 구내) 시 대 소 유 자 국토지리정보원 관 리 자 수준원점이란 우리나라 국토 높이를 측정하는 출발점을 말한다.우리나라에서는 1913년부터 1916년까지 약 3년 동안 인천 앞바다에서 발생하는 조수간만의 차이를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평균 해수면을 정하였으며, 수준원점은 이러한 평균 해수면과의 차이를 측량하여 육지에 설치해 놓은 시설물로 그 표고는.. 2023. 6. 8.
이윤생강씨정려(李允生.姜氏旌閣) 이윤생강씨정려(李允生.姜氏旌閣)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4호 (남구) 명 칭 이윤생강씨정려(李允生.姜氏旌閣) 분 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1990.11.09 소 재 지 인천 남구 용현동 442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부평이씨승지공파종친회 관 리 자 부평이씨승지공파종친회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남구 문화공보실 032-880-4298 일반설명 | 전문설명 정각이란 충신·효자·열녀 등을 나라에서 표창하여 그들이 사는 고을 입구에 세워 주던 것으로 이 곳은 충신 이윤생(1604∼1637)과 열녀인 그의 부인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이윤생은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의병을 모아 강화도와 남한산성에 이르는 길목을 지키며.. 2023.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