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문화재89 장수동은행나무(長壽洞銀杏나무) 장수동은행나무(長壽洞銀杏나무)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12호 (남동구) 명 칭 장수동은행나무(長壽洞銀杏나무) 분 류 자연유산 / 천연기념물/ 생물과학기념물/ 생물상 수량/면적 1주 지 정 일 1992.12.09 소 재 지 인천 남동구 장수동 63-6외 3필지 시 대 소유자(소유단체) 국(건설부)외 3인 관리자(관리단체) 남동구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공보실 032-453-210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병충해가 없으며 넓고 짙은 그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어 정자나무 .. 2023. 6. 9. 조정만묘(趙正萬墓) 조정만묘(趙正萬墓)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7호 (남동구) 명 칭 조정만묘(趙正萬墓)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90.11.09 소 재 지 인천 남동구 도림동 산46-3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임천조씨오제공파종중 관리자(관리단체) 임천조씨오제공파종중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공보실 032-453-210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학자인 정이(定而) 조정만(1658∼1739) 선생의 묘소이다. 송준길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우고 숙종 7년(1681)에 진사시에 장원 급제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였으며, 관직에 나아가서는 여러 관직을 거쳐 정헌대부, 지중추부사에 올랐다. 그는 경(經)·사(史)·백가서(百家書)에 .. 2023. 6. 9. 김재로묘(金在魯墓) 김재로묘(金在魯墓)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3호 (남동구) 명 칭 김재로묘(金在魯墓)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1990.11.09 소 재 지 인천 남동구 운연동 산64-13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토해양부 관리자(관리단체) 김지영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공보실 032-453-210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 후기의 문신인 청사(淸沙) 김재로(1682∼1759)의 묘소이다. 숙종 28년(1702)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숙종 36년(1710)에는 문과에 급제하여 겸설서를 시작으로 내외의 주요관직을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그는 지춘추관사로 있을 때『경종실록』편찬에 참여하였으며, 판중추부사 때에는 청나라에 가서『명사(明史.. 2023. 6. 9. 논현포대(論峴砲臺) 논현포대(論峴砲臺)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6호 (남동구) 명 칭 논현포대(論峴砲臺)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전적지/ 기타전적지 수량/면적 2좌 지 정 일 1982.03.02 소 재 지 인천 남동구 논현동 415-56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국(재무부) 관리자(관리단체) 남동구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공보실 032-453-210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어영대장 신정희와 강화유수 이경하가 인천으로 들어오는 서양인들의 배를 막기 위해 쌓은 포대이다. 조선 고종 16년(1879)에 쌓은 것으로 화도진의 관할 아래에 있었다. 인천연안은 강화의 바닷길을 통해 한양으로 가는 길목이었기 때문에 많은 포대가 있었으나, 지금은 논현포대만 남아있다. 원래 대포자리가 .. 2023. 6. 9. 한백륜 묘역 (한백륜묘역) 한백륜 묘역 (한백륜묘역)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54호 (서구) 명 칭 한백륜묘역(한백륜묘역)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1기 지 정 일 2004.04.06 소 재 지 인천 서구 마전동(능안부락) 산120-4 시 대 기타 소유자(소유단체) 청주한씨양혜공파종중 관리자(관리단체) 청주한씨양혜공파종중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서구 문화공보실 032-560-4343 일반설명 | 전문설명 한백륜(1427∼1474)의 자는 자후, 호는 의암이며 본관은 청주로 강원관찰사를 지낸 창의 아들로 1446년 음서로 관직에 나아간 후 장사랑, 소격전직장, 경복궁사연 등의 관직을 거쳤다. 1462년 그의 딸이 동궁에 들어가면서 의흥위부사, 의빈부도사를 거쳐 공조정랑에 제수되었고 .. 2023. 6. 9. 검단대곡동지석묘군(검단大谷洞支石墓群) 검단대곡동지석묘군(검단大谷洞支石墓群)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33호 (서구) 명 칭 검단대곡동지석묘군(검단大谷洞支石墓群)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지석묘 수량/면적 일원 지 정 일 1995.11.14 소 재 지 인천 서구 대곡동 산 123-1 시 대 청동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신동철외 4인 관리자(관리단체) 서구청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서구 문화공보실 032-560-4343 일반설명 | 전문설명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계층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고인돌은 4개의 받침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덮개돌을 올려 놓은 탁자식과, 땅속에 돌방을 만들고 작은 받침돌을.. 2023. 6. 9. 이전 1 ··· 4 5 6 7 8 9 10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