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문화재89

부평향교(富平鄕校) 부평향교(富平鄕校)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12호 (계양구) 명 칭 부평향교(富平鄕校) 분 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교육기관/ 향교 수량/면적 6동 지 정 일 1990.11.09 소 재 지 인천 계양구 계산동 982-1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향교재단 관리자(관리단체) 향교재단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문화공보실 032-450-5874 일반설명 | 전문설명 향교는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며, 지방 백성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국가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고려 인종 5년(1127)에 계양산 아래에 지은 부평향교는 병자호란(1636)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다시 지었다. 현재의 건물은 18세기 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여러 차례의 수리가 있었다. 현재 남아있는 건.. 2023. 6. 10.
부평도호부청사(富平都護府廳舍) 부평도호부청사(富平都護府廳舍)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유형문화재 제2호 (계양구) 명 칭 부평도호부청사(富平都護府廳舍)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관아 수량/면적 1동 지 정 일 1982.03.02 소 재 지 인천 계양구 계산동 943 (부평초등학교내)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리자(관리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계양구 문화공보실 032-450-5874 일반설명 | 전문설명 관아건물 중 하나로 『부평부읍지』에 의하면 중심업무를 보던 동헌, 관리나 외국사신이 묵던 숙박시설인 객사, 죄를 다스리던 포도청 등 수많은 건물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곳에 초등학교를 세우면서 현재 건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건물을 헐어버렸다. 지금 있는 건.. 2023. 6. 9.
범패와작법무(나비춤)(梵唄와 作法舞) 범패와작법무(나비춤)(梵唄와 作法舞)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태조 이성계 7년(1398) 인천 강화 선원사(仙源寺)로 옮길 때 오교양종(五敎兩宗)의 대덕(大德)스님들이 모여 팔만대장경 이운의식(移運儀式)을 봉행하였는데, 이때부터 인천에서 범패와 작법무가 처음 행하여 졌다. 그 후 1928년 약사사, 묘향사, 해광사 등지에서 법회에 범패(梵唄)와 작법무(作法舞)인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등이 행해졌는데 기능 보유자는 구양사 김능화 스님과 자원사 주지 박일초 스님이 그 맥을 이어 후학들에게 전승ㆍ지도하고 있다. 바라춤은 일체의 모든 마장(魔障)을 끊고 부처님의 정법(正法)을 찬탄하는 무용으로 인천 바다의 기상을 담은 힘차고 우렁찬 선이 굵은 것이 특징이며, 후국영령을 위하여 봉행한다는 점이 타지역과 다른 .. 2023. 6. 9.
이성윤위성공신교서및관련유물(李誠胤 衛聖功臣敎書 및 關聯遺物) 이성윤위성공신교서및관련유물(李誠胤 衛聖功臣敎書 및 關聯遺物)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보물 제1508호 명 칭 이성윤위성공신교서및관련유물(李誠胤 衛聖功臣敎書 및 關聯遺物)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국왕문서/ 교령류 수량/면적 교서1점, 교지1점, 호패16점, 홀1점 지 정 일 2006.12.29 소 재 지 인천 부평구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이성구 관리자(관리단체) 이성구 일반설명 | 전문설명 는 광해군 5년(1613) 3월에 임진왜란 당시 광해군을 호종하는데 공을 세운 承憲大夫 錦山君 李誠胤에게 내린 衛聖功臣敎書이다. 위성공신은 광해군이 폐위된 후 削勳되었다. 그 결과 구체적인 내용은 실록을 비롯한 모든 기록에서 삭제되었으므로 인적사항 등 자세한 사항이 전하지 않고 대강만 알려져 있.. 2023. 6. 9.
장도포대지(獐島砲臺址) 장도포대지(獐島砲臺址)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문화재자료 제19호 (남동구) 명 칭 장도포대지(獐島砲臺址)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성/ 성곽시설 수량/면적 1,481㎡ 지 정 일 2001.04.02 소 재 지 인천 남동구 논현동 111-13외 2필지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인천광역시 남동구외 1인 관리자(관리단체) 남동구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공보실 032-453-2104 장도포대지는 조선 말기에 외국선박들이 인천연안인 소래 수로로 침입하는 것을 방어하기 위해 설치한 포대로 화도진과 연희진 등 2개의 진과묘도, 북성, 제물, 호구포대와 함께 축조되었으며 화도진 관할하에 있었다. 현재는 포대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고 문헌에는 포좌 3기가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기록.. 2023. 6. 9.
이여발묘(李汝發墓) 이여발묘(李汝發墓) 인천의문화/인천의문화재 종 목 시도기념물 제50호 (남동구) 명 칭 이여발묘(李汝發墓)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무덤/ 봉토묘 수량/면적 1,345㎡ 지 정 일 2002.02.04 소 재 지 인천 남동구 운연동 343-2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한산이씨정익공파종중 관리자(관리단체) 한산이씨정익공파종중 상 세 문 의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공보실 032-453-2104 일반설명 | 전문설명 조선의 무관인 이여발(1621∼1683)의 묘이다. 이여발의 자는 군실(君實), 시호는 정익(貞翼)이며 본관은 한산(韓山)이다.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의배(義培)의 손자로서 조선 효종 2년(1651) 무과에 급제, 비변랑(備邊郞), 도총사를 거쳐 숙천(肅川)부사로 선정을 베풀어 거사비(.. 2023. 6.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