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옛모습298

수문통의 옛모습과 현재모습 수문통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03-29 14:09:26 수문통의 옛모습과 현재모습 작은 배 드나들던 갯골 수로 - 수문통(송현동 일대) 지금은 복개해 도로로 이용하고 있는 동구 송현동 일대 수문통은 원래 바닷물이 드나들었던 수로로 넓은 갯벌과 갈대밭이 무성한 저지대였다. 수문통의 유래는 이렇다. 제물포항 서북쪽 동구 만석동에서 북쪽지역인 송현·송림동까지 해안이 이어졌고 괭이부리(묘도)에서 지금은 육지가 된 인천교까지 넓은 갯골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곳 갯골에는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수구문(水口門)이 있어 수문통(水門通)이라 불렸다. 수문통은 화수·화평동, 송현·금곡동 등 인천시가지 중심부로 깊숙이 이어져 있었다. 옛 화도진도를 보면 지금의 화수동과 송현동 사이로 여러 갈래의 꾸불꾸불한 작은.. 2023. 4. 23.
소월미도의 모습 소월미도의 모습 인천의관광/인천풍경 소월미도의 모습 2023. 4. 23.
1910년대 인천시가지 1910년대 인천시가지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03-25 09:44:08 1910년대 인천시가지 2023. 4. 23.
개항기 각국 거류지도 첫 발견 개항기 각국 거류지도 첫 발견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8-13 16:26:52 개항기 각국 거류지도 첫 발견 2006년 10월 18일 (수) 정진오 schild@kyeongin.com ▲ 개항기 인천의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신찬 인천사정' 첫 머리에 실린 중구 일대의 각국 거류지 지도. 1890년대 개항기 인천 중구 일대에 조성돼 있던 `각국 거류지'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담고 있는 지도가 발견돼 학계의 주목을 끌고 있다.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원장·이갑영)은 17일 1898년 인천에 있던 조선신보사 기자 야쿠시지와 오가와 등 2명이 공동으로 편찬한 인천 안내서 격인 `신찬(新撰) 인천사정(仁川事情)'이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보관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인천대는 이 책자의 중요성을.. 2023. 4. 15.
성당의 종과 우리탕 성당의 종과 우리탕 인천의관광/인천풍경 2007-02-20 04:19:22 성당의 종과 우리탕 중구 답동 소재 천주교 인천교구 성 바오로 대성당 종신(鐘身)에 중국인 우리탕(Woo Li Tang, 吳禮堂) 씨 부부의 이름이 쓰여 있다는 내용이 실렸었다. 최근 성당 종탑 보수 공사를 하고 있었는데, 그 과정에 이들 부부의 이름자 위에 덮여 있던 한 세기의 먼지가 우연히 걷혀진 것 같다. 우리탕이라면 알려진 대로 영어와 스페인어에 능통한 외교관 출신의 청국인으로 구한말 최초로 우리 보빙사가 미국에 갈 때 역관으로 동행했던 인물이고, 그의 이름 옆에 쓰여 있다는 에밀리아 우리탕은, 그가 스페인 마드리드 주재 자국 공사관에 근무할 때 결혼했을 것으로 짐작되는 스페인 출신 부인일 것이다. 우리탕은 또 인천해관 역.. 2023. 3. 21.
오포산 기상대 오포산 기상대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7-01-02 06:41:41 인천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관측소가 세워진 고장이다. 인천 응봉산(중구 전동 25번지, 제물포고등학교 뒷편)에 기상정보를 수신하는 기상대가 있었던 시기는 1905년부터 1953년까지였다. 정확히 말하면 1904년 3월 현 중구청 뒷길 송학동 길가에 있던 수진여관에서 처음으로 기상사무소를 개설하였고 이듬해 1월에 현재의 중구 전동 25번지, 자유공원 북쪽의 제물포고등학교 뒷편에 통감부 관측소로 출발했다. 당시 인천관측소는 국내 13개의 측우소는 물론 세계 각곳의 기상정보 특히 만주지방의 관측소까지 통괄하면서기상 정보를 매일 수집해 분석, 예고했다. 또한 일본기상대와 런던그리니치 천문대와 기상정보를 주고 받았으며 1910년에는 헬.. 2023.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