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역사

인천부의 변천과 부역(府域)의 확대(1)

by 형과니 2023. 4. 29.

인천부의 변천과 부역(府域)의 확대(1)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05-28 20:47:53

 

인천부의 변천과 부역(府域)의 확대(1)

강덕우 인천시역사자료관 전문위원

 

인천은 개항과 더불어 그 중심무대와 역할면에서 이전과는 전혀 다른 성격의 취락으로 변화하게 됐다.

 

대동여지도 속의 인천

 

개항장의 확대와 개항장을 통한 국내외 무역의 활성화, 그리고 일본인을 비롯한 외국인의 거주는 이 시기 중심도시의 위상을 크게 바꾸어 놓았다. 내륙적 성격의 관교동으로부터 해양적 성격의 제물포로 중심무대가 변천하고, 지방행정 기능의 역할로부터 세계교역 기능의 수행으로 변모하게 됐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적 여건보다 제국주의 열강의 요구에 따른 세계체제로의 편입이었다는 점에서 인천의 도시발달은 태생적 한계점을 지니게 됐던 것이다.

 

인천은 주지하듯이 개항장으로서 도시화의 길로 나간 도시 가운데 가장 발달된 도시를 형성해 갔다. 그러나 그것이 한국인을 중심으로 한 도시가 아니라 일본인 중심의 도시라는 점, 그것이 근대성과 침략성을 동시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는 측면이다.

 

1883년 인천이 개항되어 제물포에 항구와 외국인 조계가 설치됐다. 항구에서의 통상사무, 외국인의 입출국, 개항장의 내·외국인 문제 등을 관장할 행정기관으로 의정부 직할의 감리서(監理署)가 설치되고 감리가 임명됐다. 감리는 인천도호부사가 겸하는 것으로 됐다. 그런데 인천도호부는 관교동에 위치해 제물포 개항장과는 상당히 먼 거리에 있었기 때문에 개항장 사무를 아울러 관장하기가 어려웠다. 그래서 인천도호부사는 내동 83번지에 위치한 감리서에서 양쪽 업무를 겸했다.

 

한국 사회는 조선 후기 이래 심화된 사회·경제적 제모순으로 인해 향촌 사회의 효과적인 통제와 안정, 그리고 이를 통한 국가 재정의 확보를 위한 지방제도의 개혁이 구상되고 있었는데 1894년 갑오농민전쟁을 계기로 사회 전반에 걸친 대대적인 제도개혁을 단행했다. 그 중 1895년 시행된 지방제도 개혁에서는 종래의 전국 8()를 세분해 23()로 개편했는데, 23부는 8도와 그 아래 좌우도 등을 참작해 세분했다.

 

인천항 감리서 정문

 

천부는 개항 이후 수도 서울의 관문이 된 인천을 중심으로 서해안 일부를 하나의 부로 독립시킨 것으로, 인천부 산하에는 인천 김포 부평 양천 시흥 안산 과천 수원 남양 강화 교동 통진의 12개 군을 두었다. 개항장 인천을 중심으로 한강 서부지역의 지방제도의 구조가 대대적으로 재편된 것이다.

 

인천부의 설치에 따라 인천감리서는 폐지되고 그 업무는 관찰부인 인천부에서 관장했다. 관찰사가 관찰부 소속 군의 업무와 개항장의 업무까지 관장하게 됨에 따라 인천관찰부는 그 소재지를 인천 제물포로 하고 인천군의 일반 행정 업무와 인천항의 통상 및 외국인 업무를 모두 담당하는 것으로 됐다. 그러나 관찰사의 업무가 과중하고 성격이 다른 업무가 복합되어 있어 그 한계를 내포하고 있었다.

 

갑오개혁의 지방제도 개편은 짧은 시일에 근본적인 여러 문제에 착수함에 따라 그 부작용도 심각했는데, 민비사건과 단발령 이후 전국적인 의병 봉기로 인해 지방제도의 원활한 운영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그리고 친일개화정권이 무너지자 갑오개혁은 중단되고 말았다.

 

이어 1896년 구본신참(舊本新參)을 바탕으로 하는 광무개혁이 단행되어 지방제도를 다시 개정, 종래의 8도 가운데 5개 도를 남북으로 구분해 13도제를 실시하고, 지역의 중요성과 특수성을 고려해 한성부 외에 도의 아래에 7부를 두었는데 이때도 인천은 부였으며 단지 1895년 갑오개혁 때 폐지됐던 감리서를 다시 부활했다. 관찰사와 부윤은 내부대신, 감리는 외부대신의 지휘를 받았다. 개항장의 감리는 부윤을 겸하도록 했으므로 인천항 감리는 인천부윤을 겸했다. 이후 190373일 개항장의 부()가 군()으로 강등됨에 따라 인천부도 군으로 됐다. 그러나 개항장의 감리만은 그대로 두었다.

 

일제강점기 인천 지도

 

 

경인철도가 놓이기 이전에는 여전히 강화해협과 한강이 주요 교통로로서 기능하는 한편, 인천에서 서울로 통하는 육로로서 개항로가 개설됐지만, 1900년 경인철도의 개통 이후에는 해로와 육로의 역할은 크게 쇠퇴했다. 명실공히 인천은 무역상, 외교상, 교통상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어 한강 서부지역의 중심지로 급부상했을 뿐 아니라 수도 서울의 관문으로서 자리잡게 됐다.

 

한편 소위 1905년의 을사보호조약에 의해 일본은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했다. 이에 따라 일본은 19061월 한국에 통감부를 설치해 한국정부의 행정을 감독하고, 각국의 공사관과 영사관을 철폐했다. 그리고 일본영사관은 이사청(理事廳)으로 개편했다. 이사청에서는 영사관의 업무, 개항장 감리의 업무, 그리고 기타 지방행정의 지도감독 업무를 맡았다. 인천 이사청은 경기도 서부 일대, 충청도 서북부 일대, 황해도 남부 일대를 관할했다.

 

일제는 통감부 설치와 함께 지방제도의 전면적인 개편을 시도했다. 1906년 지방제도조사위원회가 설치되어 옛 제도를 조사하고 개편방안을 마련한 뒤 이해 10월 지방제도의 개편에 착수했다. 군 구역을 재조정하고, 행정구역 지위의 승강을 실시했는데, 개항장 소재지의 군을 부()로 개칭함으로써 인천은 다시 부로 승격됐다. 그러나 인천감리서가 폐지되고 그 업무는 인천부에 인계됐다. 인천부는 감리서를 청사로 사용했다. 감리서의 업무는 이사청과 인천부로 갈라지고 감리의 업무 상당 부분이 이사청으로 넘어갔다.

 

 

해동도속의 인천

 

그런데 1910년을 전후로 경인선 개통에 따른 주요 기관의 서울 이전, 경부·경의선 개통, 중국 및 구미 상인의 철수에 따른 대중무역 쇠퇴, 대일무역 중심의 부산이전 등으로 인천의 상권이 약화되면서, 개항 이래 독자적인 발전을 해왔던 인천은 서울의 관문으로 성격이 바뀌어 국내의 도시체계속에 서서히 통합되기 시작했다. 이후 인천은 대외무역 의존에서 벗어나 상공업도시로 발전하는 전기를 맞게 됐다. 아울러 일본인들에 의해 본격적인 도시개발이 진행됐다.

 

1910년 병합 당시 조선의 행정구역은 1312317군이었다. 1910930일 공포된 조선총독부 지방관관제에 따르면, 부는 일본인 거류민단의 소재지에 두게 됨으로써 거류민단이 있던 인천에도 부가 설치됐다. 통감부시기와 마찬가지로 인천부이기 때문에 종래의 제도를 계승한 듯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종래의 인천부가 폐지되고 대신 새로운 지방제도에 의한 인천부가 설치된 것이었다. 대한제국 시기의 인천부윤은 해임되고 일본인이 새로운 인천부의 초대 부윤으로 임명됐다. 종래 감리서에 있던 인천부청은 폐지되고 새로운 인천부청이 이사청이 있던 일본영사관 건물로 입주했다.

 

강점 직후의 과도기적 지방통치기구를 확립했는데, 총독정치가 어느 정도 기틀이 잡히자 조선총독부는 토지조사사업의 결과를 토대로 대대적인 지방제도 개혁을 단행했다. 우선 191431일 군과 면의 통폐합을 실시했다. 물론 이것은 통치비용의 절약과 행정상의 편의에 따른 것이었다. 이어 41일을 기해 총독부는 서울·인천·군산·목포·대구·부산 등 12개 지역에 부제를 실시했다.

 

이 당시 인천부로 편입된 곳은 외국인거류지·구일본거류지·중국인거류지 일원·부내면·다소면의 화도동·수유동·신촌리·송림동·송현동·장천리일부·독각리 일부로 주로 조계지역의 주변이었고, 구인천부의 중심지였던 문학동은 부천군으로 편입됐다. 이로써 인천부는 크게 축소됐고 나머지 지역은 부평군과 합해 부천군으로 신설됐는데, 부평의 부()자와 인천의 천()자를 합한 것이었다.

 

결국 이러한 조치는 농촌지역과 시가지지역을 분리시킨 것으로 이것은 비단 인천부만의 현상이 아니라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였다. 그 이유는 우선 부로 승격된 곳은 예전부터 일본인 다수가 거주하고 있어서 그들의 자치단체인 일본인거류민단이 설치됐던 곳이었다. 이후 총독부는 각 지방에 하천·도로·항만·상하수도·전기사업·철도 등 각종 복지시설을 건설할 때도 언제나 부를 최우선순위로 배정했기에, 결국 부제를 실시하게 된 목적은 일본인들만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한국인 거주지와 일본인 거주지를 분리시킨 것이었다.

<자료제공=인천시 역사자료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