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이야기

인천 구석구석, 신나는 탐사여행

by 형과니 2023. 3. 11.

인천 구석구석, 신나는 탐사여행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6 11:15:55

 

인천 구석구석, 신나는 탐사여행

 

정보와 재미 가득한 실내시설, 한나절이면 충분

 

이제 겨울방학이 서서히 끝나가고 있다. 남은 방학기간을 청소년들은 어떻게 보내고 있을까?

집집마다 컴퓨터 게임과 TV시청을 놓고 부모들과 자녀들의 소리없는 전쟁이 치열하다는 소문도 들린다.

 

이제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유익한 정보와 각별한 재미를 맛볼 수 있는 탐사활동에 나서보자. 우선 먼저 인천지하철을 타자. 그리고 문학경기장역에서 내리면 문학경기장 야외공간에서 산책과 운동을 즐길 수도 있고 실내공간으로서는 성문화센터와 어린이 과학박물관을 둘러볼 수 있다.

 

 

올바로 알고 싶다면 들어와 봐! - 성문화센터(446-1318)

 

내숭은 필요없다. 왜곡되거나 전혀 엉뚱한 지식은 버려라. 효과적인 시청각 자료와 체험학습 방식을 통해 올바른 성지식을 과학적으로 전해주는 곳이다. 또한 양성평등, 남녀 성역할의 차이 등에 대해 바람직한 성의식을 갖도록 도와준다.

 

각종 영상물과 역할극을 통한 체험은 무척이나 실감난다. 전시실은 자연스런 동선과 인생주기를 따라 만남-탄생-성장-표현-행복이란 주제에 맞춰 각각에 적합한 영상과 교구들로 구성돼있다.

 

 

놀면서 배우고 싶다면 - 어린이박물관(432-5600)

 

박물관에 들어서면 부모들의 초등학교시절을 되돌아볼 수 있는 미니 교실풍경과 추억의 장난감, 만화영화포스터, 옛날 생활용품 등이 전시돼있다. 이어지는 지구촌 문화탐구 코너에는 각나 라의 민속인형과 탈 등 다양한 볼거리들이 그득하다.

 

과학 탐구영역은 여러가지 과학 원리들을 배울 수 있는 곳이다. 해골자전거, 발로치는 피아노 등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만한 내용이 풍부하다. 교구놀이 코너에는 다양한 나무교구와 여러가지 블럭들이 있어 두뇌발달에 도움을 주고 인기가 가장 많은 3D입체영상관에서는 실감나는 만화를 감상할 수 있다.

 

연중 무휴며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입장료는 어린이 6천원, 중학생 이상 일반 5천원이며 20명 이상 단체는 1천원씩 할인된다.

 

 

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곳 -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송도 청량산 자락에 인천 앞바다를 우뚝 바라다보며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이 서있다. 한국전쟁중 UN군 총사령관인 맥아더 장군이 시도해서 성공한 인천상륙작전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전쟁기념관이다.

 

이 기념관에는 휴게실, 공연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실내·외 전시장에는 남북한 군사장비와 생활모습을 비교한 사진을 비롯해 전쟁 당시 사용했던 장비를 전시하고 있다. 인천상륙작전과 관련한 멀티비전을 상영하기도 해 어린이들에겐 교육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방학중엔 강의실에서 무료영화상영도 하고 있다.

 

이곳에 가려면 인천지하철 1호선을 타고 동막역에서 내린 후 6, 8, 16번 시내버스를 이용, 송도유원지에 내려 5분정도 걸으면 된다. 동절기 11~2월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

 

 

수돗물을 우리가 마시기까지 - 미추홀 참물홍보관(870-9467)

 

수도꼭지만 틀면 나오는 물이지만 어떤 과정과 순서를 거쳐 한방울의 수돗물이 만들어지는지는 알기 쉽지 않다. 다행히 궁금증을 풀어줄만한 곳이 있다. 남동구 장수동에 있는 상수도사업본부 남동정수사업소는 생명의 근원인 물의 소중함과 수돗물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위하여 물 홍보관, 수돗물 생산시설, 수돗물 PET병물 생산시설을 개방하고 있다.

 

이곳에는 물 이미지, 물의 변천사, 급수시스템, 수질관리시스템, 물의 응용, 미래의 물 등 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각종 첨단 영상물과 모형이 전시돼있다. 정수장 시설견학후 홍보관을 관람하는 데는 약 50여분이 소요된다.

 

개방시간은 평일엔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토요일, 공휴일 16시까지)이며 휴관일은 매월 마지막 주 월요일(11, 설날 및 추석 연휴기간)이다. 단체관람은 사전 예약을 해야 한다.

 

정보와 재미 가득한 실내시설, 한나절이면 충분

이제 겨울방학이 서서히 끝나가고 있다. 남은 방학기간을 청소년들은 어떻게 보내고 있을까?

집집마다 컴퓨터 게임과 TV시청을 놓고 부모들과 자녀들의 소리없는 전쟁이 치열하다는 소문도 들린다.

이제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유익한 정보와 각별한 재미를 맛볼 수 있는 탐사활동에 나서보자. 우선 먼저 인천지하철을 타자. 그리고 문학경기장역에서 내리면 문학경기장 야외공간에서 산책과 운동을 즐길 수도 있고 실내공간으로서는 성문화센터와 어린이 과학박물관을 둘러볼 수 있다.

 

 

 

올바로 알고 싶다면 들어와 봐! - 성문화센터(446-1318)

 

내숭은 필요없다. 왜곡되거나 전혀 엉뚱한 지식은 버려라. 효과적인 시청각 자료와 체험학습 방식을 통해 올바른 성지식을 과학적으로 전해주는 곳이다. 또한 양성평등, 남녀 성역할의 차이 등에 대해 바람직한 성의식을 갖도록 도와준다.

각종 영상물과 역할극을 통한 체험은 무척이나 실감난다. 전시실은 자연스런 동선과 인생주기를 따라 만남-탄생-성장-표현-행복이란 주제에 맞춰 각각에 적합한 영상과 교구들로 구성돼있다.

 

놀면서 배우고 싶다면 - 어린이박물관(432-5600)

 

박물관에 들어서면 부모들의 초등학교시절을 되돌아볼 수 있는 미니 교실풍경과 추억의 장난감, 만화영화포스터, 옛날 생활용품 등이 전시돼있다. 이어지는 지구촌 문화탐구 코너에는 각나 라의 민속인형과 탈 등 다양한 볼거리들이 그득하다.

 

과학 탐구영역은 여러가지 과학 원리들을 배울 수 있는 곳이다. 해골자전거, 발로치는 피아노 등 아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할만한 내용이 풍부하다. 교구놀이 코너에는 다양한 나무교구와 여러가지 블럭들이 있어 두뇌발달에 도움을 주고 인기가 가장 많은 3D입체영상관에서는 실감나는 만화를 감상할 수 있다.

 

연중 무휴며 관람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입장료는 어린이 6천원, 중학생 이상 일반 5천원이며 20명 이상 단체는 1천원씩 할인된다.

 

박물관 나들이를 온 어린이들

 

평화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곳 - 인천상륙작전기념관

 

송도 청량산 자락에 인천 앞바다를 우뚝 바라다보며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이 서있다. 한국전쟁중 UN군 총사령관인 맥아더 장군이 시도해서 성공한 인천상륙작전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전쟁기념관이다.

 

이 기념관에는 휴게실, 공연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실내·외 전시장에는 남북한 군사장비와 생활모습을 비교한 사진을 비롯해 전쟁 당시 사용했던 장비를 전시하고 있다. 인천상륙작전과 관련한 멀티비전을 상영하기도 해 어린이들에겐 교육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방학중엔 강의실에서 무료영화상영도 하고 있다.

 

이곳에 가려면 인천지하철 1호선을 타고 동막역에서 내린 후 6, 8, 16번 시내버스를 이용, 송도유원지에 내려 5분정도 걸으면 된다. 동절기 11~2월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한다.

 

 

수돗물을 우리가 마시기까지 - 미추홀 참물홍보관(870-9467)

 

수도꼭지만 틀면 나오는 물이지만 어떤 과정과 순서를 거쳐 한방울의 수돗물이 만들어지는지는 알기 쉽지 않다. 다행히 궁금증을 풀어줄만한 곳이 있다. 남동구 장수동에 있는 상수도사업본부 남동정수사업소는 생명의 근원인 물의 소중함과 수돗물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을 위하여 물 홍보관, 수돗물 생산시설, 수돗물 PET병물 생산시설을 개방하고 있다.

 

이곳에는 물 이미지, 물의 변천사, 급수시스템, 수질관리시스템, 물의 응용, 미래의 물 등 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각종 첨단 영상물과 모형이 전시돼있다. 정수장 시설견학후 홍보관을 관람하는 데는 약 50여분이 소요된다.

 

개방시간은 평일엔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토요일, 공휴일 16시까지)이며 휴관일은 매월 마지막 주 월요일(11, 설날 및 추석 연휴기간)이다. 단체관람은 사전 예약을 해야 한다.

 

 

 

'인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서노-고구려·백제 건국한 고대사 최고 여걸  (0) 2023.03.11
홍어고개  (0) 2023.03.11
강화 빙어낚시  (3) 2023.03.11
영종도 예단포  (0) 2023.03.11
강화의 포구들  (0) 2023.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