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00 인천각(仁川閣) / 최 성연 인천각(仁川閣) / 최 성연 인천의문화/인천배경책과영화&문학 2022-02-14 02:13:16 인천각(仁川閣) / 최 성연 「오정포」산 허리 짬에 이리저리 참호(塹壕)파고 아람두리 나무통들 가로 세로 딩굴렀는데, 인천각(仁川閣) 그 호화롭던 양옥(洋屋)마저 심한 함포(艦砲)맞고 폭삭 주져 앉았다. 집 맵시 뛰어나고 쓸모 또한 큰 탓일까 모른채 석달 내내 고스란히 남겼다가 갑자기 십자 포격으로 수월하게 쳐부수다. 인민군 군관들이 은신처로 잘못 알고 꾸역꾸역 모였다가 삼태기 쓴 꼴 됐다던가 어렵게 전쟁 겪고 세우더니 끝내 전쟁 탓에 쓸어지다. # 인천문협 / 작고 인천 문인 선집/1(시) 인천 출생의 향토사학자로 유명한 최성연은 광복 직후 [동아일보] 인천주재 기자를 하며 시를 쓰기 시작했다. 6· 25 .. 2023. 7. 6. 작약도 / 최 경섭 작약도 / 최 경섭 인천의문화/인천배경책과영화&문학 2022-02-10 01:24:45 최 경섭 작약도 / 최 경섭 한참 헤엄쳐 흘러 가다가 동그라미 도사린 꿈을 삼키고, 사쁜 받쳐 든 파라솔마냥 유월훈풍에 희죽이는 함박꽃, 밀물이 치렁치렁 노닥이면서 두 팔 벌여 꼬옥 안아도 보고, 지긋이 비집고 따 씹는 석화랑 짭조름히 풍기는 훗훗한 입김. 난데없는 길손인 양 선풍을 떨며 호이호이 소근이 부르는 소리에, 저만치 떼어놓고 바라보는 마담의 와락 가슴에 안겨지는 내음…. 한창 화안히 웃고 있는 한 송이 작약도! 최경섭(崔璟涉,1910∼1994) 평안북도 희친(熙川) 출생. 의주농업학교를 졸업하고 1940년 연희전문 문과 졸업 후 2년간 일본 유학. 1937년 『조광』에 시 「초추」를 발표하며 등단. 1955.. 2023. 7. 6. 주인공원 주인공원 인천의관광/인천풍경 2022-02-07 01:39:53 주인공원 주인선은 인천항의 항만 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경인선의 주안역에서 수인선의 남인천역을 경유하여 인천역으로 이어지는 구간에서 주한 미군의 화물 전용 노선으로 운영되다가 1994년 4월 22일에 제물포역 근처에서 인천역 남부 구내까지의 1.8㎞ 구간의 폐지가 결정된 이후 방치상태였는데 2011년 주인선이 통과하던 구간의 일부를 정비하여 주인공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https://blog.naver.com/kkkk8155/140200530725 주인선 철교 1947년 사진입니다. 주인선이 생기기 전의 모습입니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얼마 전까지도 제물포역에서 1... blog.naver.com 주인선 철교 1947년 사진입니다. 주인선.. 2023. 7. 6. 월미도 해안에서 바라다 본 인천(1900년대) 월미도 해안에서 바라다 본 인천(1900년대) 인천의관광/인천풍경 2022-01-31 01:36:16 ㅁ 사진설명 ———————————————————————————————————————— 갯벌이 너른 월미도 해안에서 건너다 본 인천시가지의 풍경이다. 고깃배들이 한가로이 정박해있는 풍경 너머로 인천시가지의 모습은 점차 바뀌어 가고 있다. 응봉산 정산엔 존스톤별장이 우뚝 서있고 항만도 서서히 정비되어 가고 있다. 인천항으로 입항하는 기선에서는 검은 연기가 솟아오르고 있다. 2023. 7. 6. 1970년대 말의 항동 일대와 월미도(1978) 1970년대 말의 항동 일대와 월미도(1978) 인천의관광/인천풍경 2022-01-31 00:48:03 제59회 전국체전이 인천에서 개최되었던 1978년의 항동 일대와 월미도의 원경이다. 반세기에 달하는 인천우체국 건물에는 '총화유신'이라는 구호가 선명하고, 전국체전을 기념하는 도로의 대형 아치는 현란하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월미산은 군사지대로 시민의 발길이 통제되었다. 2023. 7. 6. 동인천역 일대 신택리지 동인천역 일대 신택리지 仁川愛/인천이야기 2022-01-23 20:00:28 동인천역 일대 신택리지 2023. 7. 6.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5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