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00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 1892-1979)의 삶과 예술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 1892-1979)의 삶과 예술 仁川愛/인천의 인물 2022-04-07 02:15:05 이당(以堂) 김은호(金殷鎬, 1892-1979)의 삶과 예술 / 송희경(이화여대) Ⅰ. 서화미술회와 김은호 이당 김은호는 1892년 음력 6월 24일 인천의 구읍지인 문학산(구 경기도 부천군) 밑 향교리에서 부친 김기일과 모친 의성 김 씨의 2대 독자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문학산 밑에서 터를 닦아 여러 대에 걸쳐 살아왔고, 가을이면 벼 2,300석을 추수하는 부농이었다. 김은호는 공부도 잘하고 붓글씨도 잘 쓰며 그림 그리기도 좋아하는, 집안의 사랑을 독차지한 귀한 아들이었다. 그가 처음 그린 그림은 불화였다고 전해진다. 5세에 문학산 기슭의 사찰에 갔다가 불화를 보고 그것을 그대로 베낀.. 2023. 7. 8. 마지막 봄 - 숭의동 109번지에서의 맥수지탄 / 김 창수 마지막 봄 - 숭의동 109번지에서의 맥수지탄 / 김 창수 仁川愛/인천사람들의 생각 2022-04-05 13:50:00 마지막 봄 - 숭의동 109번지에서의 맥수지탄 / 김 창수 숭의동 109번지의 목련과 개나리 붉은 박태기나무 꽃이 유난히 탐스럽다. 마침내 전도관 일대의 재개발 공사가 시작되었다. 3년 뒤면 숭의동 109번지 일대 6만9,428㎡ 는 지하 3층~지상 29층 18개 동 1,705가구의 새 아파트 지구로 바뀐다. 이제 사연 많은 달동네, 숭의동 109번지, 전도관 일대도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이 일대는 한국 외교사의 첫페이지를 장식하는 주한미국공사 알렌의 별장이 있던 장소, 1897년 경인철도 기공식이 열렸던 우각리, 대표적 신흥종교 중의 하나였던 전도관 언덕이다. 무엇보다 숭의동 109.. 2023. 7. 8. 해변의 시 / 김 동석 해변의 시 / 김 동석 인천의문화/인천배경책과영화&문학 2022-05-29 00:03:20 월미도 북단 동쪽 일반해수욕장의 한때(1930년대 초) 해변의 시 / 김 동석 첫여름 한나절 햇빛을 받고 월미도 조탕은 고흐의 그림인 양 명암이 선명했다. 이 풍경을 배경으로 하고 소복한 여인과 감색 양복에 노타이셔츠를입은 젊은이가 금빛 모래사장에다 나란히 발자국을 찍으면서 걸어간다. 바다와 하늘은 한빛으로 파랗고. 젊은이는 이따금 허리를 굽혀 손에 맞는 돌을 집어서는 멀리 수평선을 향해서 쏘았다. 감빛 돛, 흰 돛, 보랏빛 섬들이 그의 시야에서 출렁거렸다. 젊은이는 - 사실인즉슨 나지만 - 던진 돌이 물 있는 데까지 가서 떨어지는 것을 보고는 만족한 미소를 띄우면서 아내더러 말했다. “당신도 한번 던져보구려.” .. 2023. 7. 8. 월미도 편지 / 안 혜경 월미도 편지 / 안 혜경 인천의문화/인천배경책과영화&문학 2022-05-28 00:37:24 https://youtu.be/IKDIfKs-FqQ 2023. 7. 8. 개항기 인천, 외국인들의 기록 개항기 인천, 외국인들의 기록 仁川愛/인천이야기 2022-05-22 10:16:07 개항기 인천, 외국인들의 기록 강옥엽 인천여성사연구소 대표 근대 개항기 조선을 방문했던 외국인들이 남긴 기록은 130여 년 전 인천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다. 여러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겠지만 우선 짧은 기간 일시적으로 혹은 개인적인 목적으로 방문했던 민속학자, 외교관, 여행가 등의 인천에 대한 기록이 있다. 그리고 체류기간이 비교적 길었던 선교사들의 자료들이 있다. 인천에 대한 인상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자료는 그리 많지 않지만 기록이나 문헌자료 외에 사진자료가 남아 있다. 알려져 있다시피 조선을 유럽에 소개한 최초의 책자는 1668년에 발간한 「하멜표류기」라 할 수 있다. 이후에도 수많은 이양선들이 조선의 해안에.. 2023. 7. 8. 건축가의 엽서…100년 전 그림엽서, 뭘 읽어낼 수 있을까? 건축가의 엽서…100년 전 그림엽서, 뭘 읽어낼 수 있을까? 인천의문화/인천배경책과영화&문학 2022-05-21 11:27:28 [새책] 건축가의 엽서…100년 전 그림엽서, 뭘 읽어낼 수 있을까? 근대기 그림엽서 해석 통해 당시 도시민 삶·문화 짐작 실제장소 답사·자료분석 통해 낭만 보단 '실체' 접근 시도 ▲ 건축가의 엽서-네모 속 시간여행, 손장원 지음, 글누림, 272쪽, 1만5000원 근대기 그림엽서에서 역사적 사실을 찾아가는 책 가 출간됐다. 인천 재능대 교수이자 우리나라 근대건축을 연구한 손장원 작가는 그림엽서 속 한 세기 전에 살았던 도시민의 생활문화를 찾아 펼쳐놓는다. 연구 과정에서 터득한 엽서 읽기 방법을 구체적 사례를 중심으로 전개하고 근대기 도시공간에 투영된 삶의 모습을 추출했다. .. 2023. 7. 8.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5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