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00 주안염전 주안염전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4 20:07:48 인천 주안 염전은 해방후 1960년대 까지만해도 초등학교 교과서에 우리 나라 최초의 염전으로 소개되었던 우리 고장의 자랑스런 염전이었다. 주안 염전은 1907년 현 주안 산업단지 지역의 옛 간사지에 1정보 규모의 천일제염 실험 염전을 설치하였다. 운영해 본 결과 성공을거둠으로써 우리 나라 서해안 여러 지역에 근대적인 천일제염 염전이 확대 보급되는 계기를 마련한 염전 개척의 선구지가 되었다. 1. 우리의 전통적 제염 방법 우리 고장은 남북으로 길게 발달한 103.8km의 해안선을 갖고 있고 또한 해안 전체가 넓은 갯벌로 되어있기 때문에 썰물이 되면 넓게 발달한 갯벌이 전부 노출되어 장관을 이루고 있어서 일찍부터 이 갯벌을 이용하여 소금을 생산하.. 2023. 3. 10. 바다 개척의 해안 매립 바다 개척의 해안 매립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4 20:07:02 우리 고장 인천은 일찍이 해안수면을 개척하여 생활터전을 넓혀 온 매우 오래 역사의 뿌리를 갖고 있다. 1883년 개항이 된 인천은 근대적인 새로운 도시로 탈바꿈하면서 항만과 도로 철로와 주택지를 확보하기 위해 부족한 땅을 많이 마련하고자 우리 나라 최초로 본격적인 해안 매립사업이 추진되었던 자랑스러운 고장이기도 하다. 옛날부터 해안을 매립하여 온 이 땅의 역사나 연대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개항 후 제물포항 주변 해안을 매립하기 훨씬 이전부터 현 서구 해안을 중심으로 오랜 세월동안 소규모의 간사지 매립이 이루어져온 것 같다. 이 고장에 해안 매립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시기는 대개 개항 이후부터라고 보여지는데 이 매립사업은 그 후.. 2023. 3. 10. 우리 나라 근대 통신의 개척지 우리 나라 근대 통신의 개척지 仁川愛/인천-원조&최초&최고인것들 2007-01-14 20:06:10 1. 우리 나라의 근대적 통신망 수도의 관문인 제물포항이 개항되면서 이 곳에 진출한 동·서양의 여러 나라들은 서로 겨루면서 우리 나라로부터 각종 이권을 얻어내고자 치열한 외교전을 펼쳤다. 언제나 외교전에서는 새로운 상황 변화에 대한 정확하고도 빠른 정보를 입수하는 일이 바로 외교전의 승패를 좌우하기 때문에 통신 수단을 확보하는 일에 깊은 관심이 모아졌다. 그러나 당시 우리 나라에는 아직 현대적인 통신수단이 도입되지 못한 때인만큼 통신 연락에 여러 가지로 불편한 점이 많았다고 한다. 따라서 우리 나라에 진출한 여러 나라들은 근대적인 통신 사업에 깊은 관심을 갖고 그 사업을 따내기 위한 각축전이 벌어지기도 했.. 2023. 3. 10. 우리 나라 현대 교통의 발상지 우리 나라 현대 교통의 발상지 仁川愛/인천-원조&최초&최고인것들 2007-01-14 20:05:20 인천은 우리 나라 개화기 서구 여러 나라의 문물이 일찍 들어온 고장이요 또한 수도의 관문인 관계로 개항 이후에는 많은 외국사절이나 상인들의 왕래가 빈번하고 여러 가지 화물 또한 날로 증가하였으나 경인간의 도로나 교통시설은 매우 열악하여 화물수송이나통행에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인천에서 경성에 이르는 80리 길은 우리 나라 개화의 새로운 문물이 들어온개화 1번 도로로서 국내외의 깊은 관심 속에 끊임없는 발전을 거듭하여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생긴 경인철도를 비롯하여 경인고속도로와 전철이 개통된 자랑스런 그 역사의 현장이 살아있는 현대 교통의 발상지다. 우리 나라 최초의 교통 시설 경인철도개통.. 2023. 3. 10. 우리 나라 최초의 기상대 우리 나라 최초의 기상대 仁川愛/인천-원조&최초&최고인것들 2007-01-14 20:04:22 인천은 우리 나라 최초의 근대적 기상관측고사 90여년전 처음 생긴 고장이다. 자유공원 북쪽(제물포고교 뒷편) 언덕 푸른 숲 사이로 우뚝 솟은 하얀 원통형 건물은 구시내에 들어서면 어느 곳에서나 볼 수 있는 자유공원의 상징물이기도 하다. 인천 중구 전동 25에 자리잡고 잇는 이 기상대는 한때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초의 중앙관상대로서 세계 각지의 기상 정보를 수신하여 그날 그날의 기상을 분석 예고하는 기상업무의 중추적인 역할을 다해온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6.25동란으로 인해 기상관측의 중요한 시설이 대부분 췌손 되었고 이로 인하여 정상적인 기상업무를 수행하기가 매우 어려워지자 애석하게도 1953년 중앙기상대의 .. 2023. 3. 10. 인천의 역사 달력 인천의 역사 달력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4 20:03:16 1 월 이승훈 연경 남천주당에서 그리몽 신부로부터 영세(1784.1) 인천 개항(1883.1.1) 갑오 농민 전쟁 시작(1894.1.10) 하와이 이민 인천 출발(1903.1) 조선 일일신문, 척식회사의 무용론을 주장하여 발행 정지당함(1910.1.18) 인천 미군 유류 보급창 노동자 460여명 부당 해고 항의 농성(1957.1) 인천에 계양, 영종도, 용유도 편입(1989.1.1) 2 월 이자겸의 난(1126.2) 강화도 조약(개항 조약) - (1876.2.26) 경인 철도 회사 임금 인상 파업(1901.2) 일본군 인천 해상에서 러시아 함정 2척 격파, 러일 전쟁 시작(1904.2.8) 9월의 문화 인물 우현 고유섭 용동에서 출생.. 2023. 3. 10. 이전 1 ··· 561 562 563 564 565 566 567 ··· 5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