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00

인천의 주요 산 인천의 주요 산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4 19:35:22 인천의 주요 산 산이름 위 치 연혁 및 생태계 월미산 중구 북성동 산2-1 - 연혁 : 높이 93.1m, 면적 581천㎡ - 유래 : 반달과 같이 꼬리가 길게 늘어져 월미(月尾)라고 부름 - 식물 : 산벗나무, 졸참나무, 상수리, 아카시아 등 식생 - 조류 : 집비둘기, 참새 등 5종 관찰 왕산 중구 을왕동 산121 - 연혁 : 높이 156.5m, 면적 1,781천㎡ - 유래 : 용유도에 위치하며, 고려시대 왕가의 무덤이 있다고 해서 이름지어짐 - 식물 : 해송, 참나무, 오리나무, 자작나무 등 식생 - 동물 : 조사된 바 없음 백운산 중구 운서리 운남, 운북 - 연혁 : 높이 215.6m, 면적 4,366천㎡ - 유래 : 용유도의 주.. 2023. 3. 9.
역사의식 없는 역사기념물 - 러시아의 인천해전 추모비 건립을 중심으로 - 역사의식 없는 역사기념물 - 러시아의 인천해전 추모비 건립을 중심으로 -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4 19:03:12 역사의식 없는 역사기념물 - 러시아의 인천해전 추모비 건립을 중심으로 - 이 영 호 1904년 2월 4일 일본은 러시아와 국교를 단절하고 2월 10일에는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한다. 선전포고에 앞서 2월 8일 밤 일본함대가 뤼순(旅順)의 러시아 극동함대를 공격하고, 동시에 인천항에서는 러시아 함선 바랴크(Variak)호와 코레에츠(Koryetz)호 두 척이 꼼짝 못하고 지켜보는 가운데 일본육군의 상륙이 감행된다. 2월 9일 아침 일본함대는 러시아 함선에 대하여 중립항인 인천항에서의 철퇴를 요구한다. 일본의 경고에 진퇴양난에 빠진 러시아 함선은 비장한 결의로 항구를 떠난다. 소월미도.. 2023. 3. 9.
공간으로 탐색해보는 인천의 역사와 환경 공간으로 탐색해보는 인천의 역사와 환경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4 18:45:28 공간으로 탐색해보는 인천의 역사와 환경 이 희 환(인하대 국문과 강사, 인천도시환경연대회의 집행위원장) 1. 문학산, 귀환하지 못한 인천사 1) ‘문학산’이라는 이름 흔히들 인천의 진산(鎭山)을 문학산(文鶴山)으로 알고 있는 분들이 많은 것 같다. 전래의 풍수사상에서 유래한 진산의 개념은, 도읍이나 성시(城市)의 뒤쪽에 있는 큰 산으로, 그 고을을 진호(鎭護)하고 더불어 상징적 표식(랜드마크)의 역할을 하는 산을 의미하였다. 이에 따르면 인천의 진산은 인천도호부(지금의 문학초등학교 자리)의 뒤편에 위치한 승학산(昇鶴山)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진산은 위치도 중요하지만 그 고을의 상징적인 랜드마크가 되어야 했다. .. 2023. 3. 9.
짜장면으로 보는 중국근대사 짜장면으로 보는 중국근대사 仁川愛/인천이야기 2007-01-14 16:42:56 저자명 백영서 발행자 한샘 발행일 1987-01-01 제 목 짜장면으로 보는 중국근대사 내용 짜장면으로 본 중국 근대사 즐겨 먹는 짜장면도 시대의 필연적 산물 짜장면과 오징어가 어느 정도 물릴 때 비로소 청소년 티를 벗고 어른이 된다는 우스갯소리를 들은 적이 있다. 우리 고유의 음식도 아닌 짜장면이 그만큼 우리 생활 속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는 이야기다. 이 짜장면을 그저 즐겨 먹는 데 그치지 말고, 조금만 주의를 기울여 그것이 우리에게 친숙하게 된 내력을 따져 보자. 그러면 짜장면은 더 이상 1,500원 짜리 음식에 머물지 않고, 우리에게 중국 역사를 보여 주는 하나의 창으로 변한다. 짜장면은 누구나 다 알다시피 화교 곧 중.. 2023. 3. 9.
[인천이 원조]정미소 [인천이 원조]정미소 仁川愛/인천-원조&최초&최고인것들 2007-01-14 05:26:33 [인천이 원조]정미소 [서울신문]농촌에서 수확한 벼를 쌀로 만들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작업이 바로 도정(쌀을 찧는 일)이다. 이 도정 작업을 하는 곳이 정미소다.19세기 말까지만 해도 우리나라에서는 정미소가 없어 연자방아나 물레방앗간에서 쌀을 찧었다. 그러던 중 1892년 인천 용동에 정미소가 생겼는데, 사람들은 이를 ‘담손이방앗간’이라고 불렀다. 이는 스팀 동력 즉, 증기를 이용하는 근대식 시설을 갖춘 최초의 정미소였다.‘담손이’라는 말은 ‘타운센드’의 우리식 발음으로, 미국인 월트 타운센드가 세운 ‘타운센드 상회’가 정미소를 만들어 붙여진 이름이다. 타운센드 상회는 1883년 인천항 개항과 함께 우리나라에.. 2023. 3. 9.
[인천이 원조] 보육원 [인천이 원조] 보육원 仁川愛/인천-원조&최초&최고인것들 2007-01-14 05:25:20 [인천이 원조] 보육원 [서울신문]인천시 남구 용현동에 있는 인하대학교 후문 건너편 골목길로 오르면 아담하고 예쁜 벽돌 건물이 보인다. 이곳이 우리나라 최초의 보육원인 해성보육원이다. 1893년 인천시 중구 답동 답동성당의 수녀원이 완공되자 프랑스 샤르트르 성바오로 수녀회에서는 2명의 수녀를 파견해 보육사업과 무료 진료사업을 실시했다. 답동성당은 1889년 인천에 처음으로 세워진 성당이다. 당시는 보릿고개가 심하고 먹고살기 힘들어 길거리에 버려지는 아이들이 많았는데 수녀들은 이들을 보살폈다.1894년 가을에 각각 4살과 12살 된 여자아이를, 이듬해 4월 2살된 남자아이가 들어오면서 답동성당내에 해성보육원을 설립.. 2023.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