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천의 옛모습298

인천의 시장발달사(2) 인천의 시장발달사(2)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10-16 13:41:50 인천의 시장발달사(2) 이명운 (주)시아대표/인천의제21 관광코스개발단장 일제 강점기에 일용품 소매시장 및 수산물·청과류의 도매시장 경영은 인천부의 관할이었는데, 1927년에 오면 시장 사용이 허가제로 되고 사용료는 징수했다. 인천에는 부(府)경영의 공설 일용품시장이 2곳 있었다. 신정(新町)에서 생선류를 파는 제1시장과 야채를 파는 제2시장인데, 일용품 잡화는 설치되지 않았다. # 어시장(생선전) : 인천수산주식회사 생선시장은 1895년경 정흥택이 어업의 어획물을 거의 다 매입해 시장부근의 노점상인 또는 행상인에게 판매했기에 일본인 이나타(稻田勝諺)는 어시장 개설을 허가 받아 1898년 5월 북성동 11번지 근방에 어시.. 2023. 5. 15.
인천의 시장발달사(1) 인천의 시장발달사(1)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10-10 10:11:23 인천의 시장발달사(1) 이명운 (주)시아대표/인천의제21 관광코스개발단장 ▲ 이명운 (주)시아대표/인천의제21 관광코스개발단장 시장은 단순한 재화를 교류하는 곳이기보다는 사람들의 정보교류와 사람과 사람을, 공간과 공간을 묶는 끈과 같은 역할은 한다. 인천도 개항과 더불어 시장이 생겨나고 시간이 지나면서 상권과 시장의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인천에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하지 않다. 그러나 문헌자료를 보면 개항을 전후해 시장의 형태와 그 발달과정에서 급격한 변화를 보인 것은 사실이다. 개항 이후 현재의 중구와 동구를 중심으로 특히 개항장이었던 중구 신포동 일대에 시장이 개설됐다. 당시에 개설된 시장은 수산물을 취.. 2023. 5. 15.
화교사회의 기원지, 청관(淸館) 화교사회의 기원지, 청관(淸館)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10-01 20:59:09 인천 개항장 풍경(13) 근대문화로 보는 한국최초 인천최고(7) - 화교사회의 기원지, 청관(淸館) - 강옥엽 인천시역사자료관 전문위원 # 조계의 설정과 운영 인천 개항 후 일본과 청(淸) 및 구미 각국은 조계(租界)를 설정해 자국민의 권익을 보호하고 통상을 확대하려 했다. 서구열강과 근대적인 통상조약을 맺고 개항하기 전에도 조선과 중국·일본에는 특정지역에서 특정 외국인의 거주와 무역을 허용한 폐쇄적인 교역장이 있었다. 중국의 광동상관(廣東商館), 일본의 나가사키[長崎] 데시마[出島]의 화란상관(和蘭商館)과 당인옥부(唐人屋敷), 한국 부산의 초량왜관(草梁倭館)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지역은 내지와 격리돼 있었으.. 2023. 5. 14.
최초의 군함 양무호, 광제호 최초의 군함 양무호, 광제호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09-23 15:53:47 인천 개항장 풍경(12) 근대문화로 보는 한국 최초 인천 최고(6) - 최초의 군함 양무호, 광제호- 강덕우 인천시역사자료관 전문위원 1903년 4월 15일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군함의 효시라 일컫는 양무호(揚武號)가 인천항에 닻을 내렸다. 해군사관학교의 폐쇄된 지 8년 만의 일이었다. 그간 병인양요, 신미양요 등 외세의 침략으로 서양 전함의 위력을 뼈저리게 느꼈던 조선은 신식 배를 만들기 위해 무던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기술의 미비로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는데, 미쓰이물산(三井物産)합명회사가 군함을 납품함으로써 첫 선을 보이게 된 것이다. 일본 화물선의 크기가 평균 580t이던 시절에 3천여t 짜리 철선이 들.. 2023. 5. 14.
인천의 성냥공장과 담배 인천의 성냥공장과 담배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09-18 01:26:42 인천 개항장 풍경(11) 근대문화로 보는 한국 최초 인천 최고(5) - 인천의 성냥공장과 담배- 강덕우 인천시역사자료관 전문위원 # 최초의 성냥공장과 인천 1900년 러시아 대장성이 발행한 「조선에 관한 기록」이란 보고서는 “1886년 제물포에 외국인들의 지휘 하에 성냥공장이 세워졌다. 그러나 얼마 되지 않아 생산을 중단하게 됐는데, 그 주요 원인은 일본제 성냥이 범람했기 때문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이 기록으로는 이 성냥 공장의 정확한 위치, 또 상호라든가 회사 규모 등을 알 수는 없지만 한국 최초의 성냥 공장이 인천에 있었던 것만은 밝히고 있는 것이다. 성냥의 국내 전래는 1880년 개화승(開化僧) 이동인(李東仁)이.. 2023. 5. 14.
인천 개항장 풍경(9) - 근대문화로 보는 한국 최초 인천 최고(2) 인천 개항장 풍경(9) - 근대문화로 보는 한국 최초 인천 최고(2) 인천의관광/인천의 옛모습 2008-09-10 00:31:14 인천 개항장 풍경(9) - 근대문화로 보는 한국 최초 인천 최고(2) - 인천 최초의 지점 은행- 강덕우 인천시 역사자료관 전문위원 우리나라에 근대적 금융기관인 은행이 설치된 것은 강화도조약 체결 한 달 후인 1876년 3월 일본 제일은행 은행장이었던 삽택영일(澁澤榮一)이 부산에 사설 은행을 설립한 것이 최초였다. 이후 1878년 3월 이 은행은 일본 제일국립은행에 인계돼 제일국립은행 부산지점으로 영업을 시작한 후 1880년 원산, 1883년 인천에 출장소를 설치했다. # 제일국립은행 인천출장소 설치 개항 이후 수출입 무역의 급격한 성장은 전통 금융업과는 상이한 형태의 근대적.. 2023.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