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장환의 시적 편력과 비판적 인식
오장환의 시적 편력과 비판적 인식 인천의문화/인천배경책과영화&문학 2019-07-10 15:49:15 오장환의 시적 편력과 비판적 인식 이 원 규 (박사과정수료) - 목 차 - 1. 머리말 2. 현실인식과 전통부정 - 『城壁』 3. 상실의식과 자아찾기의 몸부림-『城壁』 4. 죽음충동에서 생명력 회복으로-『獻詞』,『나 사는 곳』 5. 사회현실에의 참여-『병든 서울』 6.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1933년 11월『조선문학』에 시「목욕간」을 발표하면서 창작활동을 시작한 吳章煥은, 그후『시인부락』,『자오선』의 동인활동과 더불어 4권의 시집 『城壁』(1937, 풍림사),『獻詞』(1939, 남만서방),『병든서울』(1946, 정음사),『나 사는 곳』(1947, 헌문사)을 간행하는 등 당시의 어떤 시인보다..
2023. 7. 2.
詩로 보는, 광복 후 인천 개항장 풍광
詩로 보는, 광복 후 인천 개항장 풍광 인천의문화/인천배경책과영화&문학 2019-07-09 14:37:58 詩로 보는, 광복 후 인천 개항장 풍광 ▲ 해방 이후 인천항 일대 전경, 출처:인천직할시, , 인천직할시사편찬위원회, 1983. 1883년 인천의 개항 이후 1940년대와 1950년대의 달라진 이곳 정경은, 박인환과 조병화의 시작품들에 잘 반영돼 있는 것을 볼 수 있어 주목된다. 먼저 1947년 4월호에는, '세월이 가면'과 '목마와 숙녀' 등의 시로 널리 알려진 시인 박인환(朴寅煥, 1926~1956)의 시 '인천항'이 수록돼 있어 관심을 끈다. '사진잡지에서 본 향항 야경을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중일전쟁 때/ 상해부두를 슬퍼했다// 서울에서 삼천 킬로를 떨어진 곳에/ 모든 해안선과 공통되어 있..
2023. 7. 2.